최근 검색
* 페이지를 이동해도 계속해서 분석을 진행합니다.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hello_ep) 인스타그램 상세 프로필 분석: 팔로워 88,117, 참여율 1.01%

hello_ep 인스타그램 프로필 사진

@hello_ep

비즈니스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Seoul based graphic design studio member of AGI @agigraphic 📧 hello@everyday-practice.com

https://www.manifesto.ing/
alolot.kr 프로필 사진

alolot.kr

스튜디오 어랏 ALOT
상세 분석 보기 →
grapharchive 프로필 사진

grapharchive

graphic-archive
상세 분석 보기 →
plusx_creative 프로필 사진

plusx_creative

Plus X
상세 분석 보기 →
multi0le 프로필 사진

multi0le

Multiple
상세 분석 보기 →
studiopullpool 프로필 사진

studiopullpool

PULL POOL
상세 분석 보기 →
sooooi_ 프로필 사진

sooooi_

쑤이 SUI
상세 분석 보기 →
generalgraphics_official 프로필 사진

generalgraphics_official

generalgraphics
상세 분석 보기 →
100space 프로필 사진

100space

백색공간
상세 분석 보기 →
leedotype 프로필 사진

leedotype

이도타입
상세 분석 보기 →
dfy.seoul 프로필 사진

dfy.seoul

DFY® 디에프와이
상세 분석 보기 →
ondesign.n 프로필 사진

ondesign.n

온디 | 로고 | 로고디자인 | 로고제작 | 브랜딩
상세 분석 보기 →
Premium

로그인인 사용자 전용

모든 순위의 릴스를 '무료로' 확인하려면
로그인하세요.

로그인 하기

@hello_ep 계정 통계 차트

게시물 타입 분포

시간대별 활동 분석 (최근 게시물 기준)

가장 많이 포스팅한 시간(한국시간 기준)
11:00 KST

@hello_ep 최근 게시물 상세 분석

총 게시물
1,041
평균 좋아요
885
평균 댓글
3

여러 장 게시물 분석

평균 좋아요 0
평균 댓글 0
게시물 수 12개
전체 게시물 중 100.0%

@hello_ep 최근 게시물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August 13, 2025 tagging @joonhosays, @limminjae.kr, and @philoelectroray. May be a graphic of poster, card, magazine and text that says '신우승 진기가요. .갈오력 운영자 전기가오리 を e. 된기가오다 w. @gmall.ilo- @gmail.com electro-ray.org www.philo- www. electro-rav.ord philo.electro.ray 010-5759-8579 8579 전기가노니 전기가노니 전기가그~ 전기가'.
여러장
1,539
3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기가오리는 사회정치적인 주제의 철학적 측면에 주목하고, 반엘리트주의를 지향하며, 철학을 둘러싼 지식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학문 공동체입니다. 철학을 신화나 권위가 아닌, 누구나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영역으로 끌어내고자 하는 목표 아래에, 각종 온·오프라인 스터디 자료를 출판하는 자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전기가오리의 명함, E-Book, 시각물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전기가오리에서의 브랜드 경험과 콘텐츠 제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접근법 아래에, 시각적으로는 전기가오리의 철학 텍스트와 교육 콘텐츠를 가독성 있고 일관성 있게 전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무료 배포된 서체만을 활용하여 내부 운영자로 하여금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컨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강화된 시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기가오리의 개성과 철학적 이미지를 시각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에 반영하였으며, 키컬러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카테고리화 하였습니다. 향후 다양한 콘텐츠를 일관된 형식으로 확장·배포할 수 있는 디자인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기가오리의 컨텐츠를 더 많은 독자에게 깊이 있고 매력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핵심적인 시각·기술적 토대를 디자인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임민재 클라이언트. 전기가오리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Philo Electro Ray is an academic community that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socio-political issues, advocates anti-elitism, and seeks to bridge the knowledge gap surrounding philosophy. Under the goal of bringing philosophy out of the realm of myth and authority and into an area where anyone can study together, it operates its own platform that publishes various online and offline study materials. Everyday Practice developed Philo Electro Ray’s business cards, E-Book, and visual identity system. Under the approach of enhancing brand experience and content production efficiency at Philo Electro Ray, the visual design focuses on conveying Philo Electro Ray’s philosophical texts and educational content in a readable and consistent manner. The design utilizes only freely distributed fonts to enable internal operators to produce content efficiently and sustainably. Additionally, we reflected Philo Electro Ray’s unique personality and philosophical imagery in visual elements and typography to provide a visually enhanced brand identity experience, and used an expanded color palette to intuitively categorize diverse content.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Minjae Lim Client. Philo Electro Ray #design #그래픽디자인 #편집디자인 #명함디자인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graphicdesign #editorialdesign #bookdesign #businesscarddesign #전기가오리

2025년 08월 14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hello_ep 게시물 이미지: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일상의실천은 설문대할망전시관의 재개관을...
여러장
808
1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일상의실천은 설문대할망전시관의 재개관을 맞아 설문대할망의 정체성과 서사를 담은 키비주얼을 디자인했습니다. 설문대할망은 제주 신화 속 여성 창조신으로, 섬을 만들고 생명을 품은 거대한 존재입니다. 우리는 신화를 중심으로 제주 고유의 자연과 생태, 문화를 함께 탐구하며, 설문대할망의 이미지를 현대적인 시각 언어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신성하고도 압도적인 여신의 이미지와 섬의 생태적 특징을 시각화하기 위해, 제주의 자연에서 추출한 고유의 색과 질감을 회화적으로 구현했습니다. 여신의 거대한 실루엣은 추상적 형상으로 표현되어, 신화와 현실, 상상과 자연이 공존하는 시각적 서사로 확장됩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김어진 디자인. 박세희
클라이언트. 설문대할망전시관 사진. 김진솔 Key Visual Design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key visual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capturing the identity and mythology of Seolmundaehalmang. In Jeju mythology, Seolmundaehalmang is a primordial female deity who created the island and nurtured life—a vast and sacred presence. Centered around this myth, we explored Jeju’s unique nature, ecology, and culture, aiming to reinterpret the image of the goddess through a contemporary visual language. To visualize the divine and monumental image of Seolmundaehalmang alongside the island’s ecological character, we translated Jeju’s native colors and textures into painterly expressions. The goddess’s immense silhouette is rendered in abstract form, expanding into a visual narrative where myth and reality, imagination and nature coexist. Project Director. Eojin Kim
Design. Sehee Park Client. Seolmundaehalmang Complex Photography. JSK Studio #설문대할망전시관 #제주돌문화공원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design #Posterdesign #graphicdesign

2025년 08월 06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August 04, 2025 tagging @joonhosays, @betweenminds, @flux_of_a0, and @xxpress.official. May be an illustration of poster, magazine and text that says '눈끼풀 OL 의 징원 A 王 운로 마 X ٥ U Quiet Garden I Behino My Eyes 개 인 XXPREJS Ah YOUnG 2025.8.5-8.10 etlux_of_so exxpress.official'.
여러장
616
1

눈꺼풀 안쪽의 정원 일상의실천에서 조아영 작가 @flux_of_a0 의 개인전 〈눈꺼풀 안쪽의 정원〉을 위한 그래픽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조아영 작가는 회화와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일상의 감각적 잔상들을 시적으로 풀어내며, 익숙하지만 낯선 장면들로 ‘말이 되기 전의 감정’을 조용히 환기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전시는 2025년 8월 5일부터 10일까지, XXPRESS @xxpress.official 에서 열립니다. 📍 XXPRESS 서울 마포구 포은로 99 (망원동) 🗓 2025.8.5 Tue – 8.10 Sun 디자인. 권준호 사진. 김형미 @betweenminds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We designed the visual identity for artist Jo Ah Young’s flux_of_a0 solo exhibition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Jo’s work translates fragments of sensory impressions collected from everyday life into paintings and digital images. Through scenes that feel both familiar and strange, she quietly evokes emotions that emerge before they take shape in words. The exhibition runs from August 5 to 10, 2025, at XXPRESS. xxpress.official 📍 XXPRESS 99 Poeun-ro, Mapo-gu, Seoul (Mangwon-dong) 🗓 Aug 5 Tue – Aug 10 Sun, 2025 Design. Joonho Kwon Photography. Hyungmi Kim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그래픽디자인 #ExhibitionDesign #posterdesign

2025년 08월 05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July 31, 2025 tagging @real_3208.indd. May be pop art of poster, calendar, magazine and text that says '요디츠어 豊士製清和 조비 굿 2025. 2025 주토시증 경상필 울산현대 의래 5.9. 5.9.-5.18. -5.18. 미술제 박은태 스튜디오 1750 욕정호 Have a 이문호 가다갤러리 아트스페이스그루 갤러리칠 가기갤러리 เหม 예피모양장점2층 2층 문화의 거리 일대 이용벽 엄혼순 전영일 el'.
여러장
526
1

2025 울산현대미술제 <굿 워캔드> <굿 워캔드>는 2025년 울산현대미술제의 주제입니다. 한국 산업 발전의 상징적인 공업 도시인 울산에서 열린 축제의 주제는 주말(Weekend)과 일(Work)의 조합된 단어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 단어는 예술과 여가를 통해 노동과 삶의 균형에 대한 성찰을 찾아보기 위한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Week)와 (Work)의 형태 유사성을 유쾌한 타이포그래피 형태로 표현합니다. 직관적이고 친화적인 형태, 다채로운 색상은 축제의 경쾌한 인상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축제 국문명 ’굿워캔드’를 공업 도시의 부품을 연상시키는 도형 안에 기계적인 모양으로 담아 울산의 지역적인 개성을 강조합니다. 디자인. 김어진 사진. 김진솔 GOOD WORKEND <GOOD WORKEND> is the theme of the 2025 Ulsan Contemporary Art Festival. Held in Ulsan, an industrial city that symbolizes Korea’s industrial development, the theme of the festival is a combination of the words “weekend” and “work.” This word embodies the intention to reflect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through art and leisure. Everyday Practice expresses the formal similarity between “Week” and ‘Work’ through playful typography. The intuitive and approachable forms, along with vibrant colors, convey the festival‘s lively atmosphere. Additionally, the festival’s Korean name, “GOOD WORKEND,” is enclosed within a geometric shape reminiscent of industrial city components, presented in a mechanical form to emphasize Ulsan‘s regional identity. Design. Eojin Kim Photography. JSK Studio #울산현대미술제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design #Posterdesign #graphicdesign

2025년 08월 01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hello_ep 게시물 이미지: 새로움아이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새로움아이는 1998년부터 국내·외 다양한...
여러장
540
5

새로움아이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새로움아이는 1998년부터 국내·외 다양한 전시/문화공간에 새로운 시도, 최적의 연출 방안을 고민하며 크리에이티브한 전시 공간을 만들어왔습니다. 콘텐츠 기획부터 설계, 디자인, 연출과 시공에 이르기까지 전시에 필요한 다양한 영역의 스펙트럼을 확장해 나가며 통합적인 전시 구축 전략을 제안합니다. 일상의실천은 새로움아이의 아이덴티티를 기하학적 구조와 반복적인 형태로 구성하여, 브랜드가 지향하는 창의적이고 구조적인 전시 방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새로움아이 웹사이트는 새로움아이의 새롭고 크리에이티브한 전시 구축 전략을 디지털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기획·제작되었습니다. 새로움아이의 변경된 아이덴티티의 기하학적이고 정비례에 입각한 구조를 웹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재구성하여 전반적인 시각 언어를 구성하였습니다. 정보 구조는 다채로운 전시 공간들을 방문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각 카테고리를 구분지어 구성하였고, 직관적이고 명확한 디자인 컨셉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을 고려했습니다. https://saeroumi.com/ 프로젝터 디렉터. 권준호, 김경철 아이덴티티 디자인. 권준호 모션그래픽. 정수이 웹사이트 디자인. 양현호, 장은아 개발. 장은아 클라이언트. 새로움아이 Saeroumi Identity & Website Since 1998, Saeroumi has been creating creative exhibition spaces by considering new attempts and optimal production methods for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cultural spaces. From content planning to design, production, and construction, by expanding the spectrum of various areas necessary for exhibitions and propose integrated exhibition construction strategies. Everyday Practice composed New Idea’s identity using geometric structures and repetitive forms to visually express the brand‘s creative and structured exhibition approach. Saeroumi website was planned and produced with the goal of effectively communicating Saeroumi’s new and creative exhibition construction strategy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geometric and proportional structure of Saeroumi’s changed identity was reconfigured into a form optimized for the web environment to create an overall visual language. The information structure was organized by separating each category so that visitors could easily access the colorful exhibition spaces, and the user experience was considered to enable effective exploration of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an intuitive and clear design concept.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Kyungchul Kim Identity Design. Joonho Kwon Motiongraphic. Sui Jeong Website Design. Hyunho Yang, Euna Jang Development. Euna Jang Client. Saeroumi #everydayprctice #일상의실천 #새로움아이 #identitydesign #graphic design #webdesign #uxui

2025년 07월 31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July 24, 2025 tagging @real_3208.indd, and @moca_busan. May be a graphic of magazine, poster, book and text that says '早仁品 미출관 술관, 국 현대 bM C Ό 개관5주년북서 01-2003 b 금로로 개관6주년에서 3018-2023 2011-2028 채스과, 미슬 미슬관, 的母 0 2019-2073 제관5주년택서 부드과 미술관 DIEE 현대 미술관, 현대 개산현대피순판 29-200၀3 2018-2023 .. BusanMuseumof T comemporaryar Raport 2018 2018-2003 BUSAN, MUSEUM, CONTEMPORARY'.
여러장
536
4

『부산, 미술관, 현대』 부산현대미술관 개관 5주년 백서 『부산, 미술관, 현대』는 부산현대미술관이 설립된 배경과 5년동안 진행한 전시 그리고 동시대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부산현대미술관의 이름을 다시 조합해 구성된 백서는 ‘부산-미술관-현대’ 세 개 부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부산’은 미술관이 처음 을숙도(천연기념물 제179호)에 설립된 역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미술관’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한 다양한 전시 내용과 운영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는 동시대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소개와 미술관을 둘러싼 다양한 증언과 비평을 담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베이지색으로 완공된 미술관의 초기 외형과 프랑스 식물학자 패트릭 블랑(Patrick Blanc)의 〈수직정원(Vertical Garden)〉을 통해 외벽 전면에 식물로 설치된 현재 외형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책 표지에 형광 잉크를 인쇄합니다. 밝을 때에는 베이지색이지만 어두워졌을 때에는 녹색이 되는 표지는 미술관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2023년 리뉴얼된 부산현대미술관 아이덴티티 가이드를 따르는 전용 서체와 심벌마크의 주요 모티프를 디자인에 적용합니다. 『부산, 미술관, 현대』는 608페이지의 방대한 내용으로 기록된 백서입니다. 디자인. 김어진 사진. 김진솔 “Busan, Museum, Contemporary” The 5th anniversary white paper of the Busan Museum of Contemporary Art(MoCA Busan), “Busan, Museum, Contemporary,” contains records of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oCA Busan, exhibitions held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museums. The white paper, which is composed of the names of the MoCA Busan,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usan,” “Museum,” and “Contemporary.” “Busan” covers the history of the museum’s establishment on Eulsukdo Island (Natural Monument No. 179). ‘Museum’ contains information on the various exhibitions and operations conducted from 2018 to 2023. “Contemporary” introduces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museums and includes various testimonies and critiques surrounding the museum. Everyday Practice uses fluorescent ink on the book cover to express the transformation of the museum’s exterior, from its initial beige-colored structure to its current appearance, which features plants installed on the entire exterior wall through French botanist Patrick Blanc’s “Vertical Garden.” The cover, which appears beige in daylight but turns green in the dark, symbolically represents the museum’s evolution. Additionally, the design incorporates the main motifs of the custom typeface and symbol mark following the 2023-renewed MoCA Busan identity guide. “Busan, Museum, Contemporary” is a comprehensive white paper documented over 608 pages. Design. Eojin Kim Photography. Jinsol Kim #부산현대미술관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design

2025년 07월 25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July 24, 2025 tagging @joonhosays, and @gdcaward. May be an image of 1 person, poster, magazine and text that says 'GDC Award 25 gdcaward.com Cung esig AEA Judge Kwon Joonho Seoul South Seoul-SouthKorea Korea ehhn Ca ATAN .M AGI Member Everyday Practice Co-Founder'.
여러장
369
4

일상의실천 권준호 디자이너가 GDC 어워드 2025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합니다. GDC 어워드는 중국 선전에서 격년제로 개최되는 그래픽 디자인 공모전으로, 전 세계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편집, 브랜딩, 타이포그래피 등 다양한 분야의 우수 작품을 선정하고, 전시와 함께 소개하는 국제 디자인 플랫폼입니다. Joonho Kwon, co-founder and design director of Everyday Practice, has been invited to serve as a judge for the GDC Award 2025. The GDC (Graphic Design in China) Award is a leading graphic design competition in Asia, held biennially in Shenzhen, China. It has recognized outstanding works from designers around the world across various fields including editorial, branding, typography, and more, and showcases them through exhibitions and publications. @gdcaward International Judge 国际评审 Kwon Joonho Seoul · South Korea AGI Member Everyday Practice Co-founder @hello_ep Kwon Joonho @joonhosays is a graphic designer and co-founder of the Seoul-based studio Everyday Practice (Hello EP). He studied Visual Communication at the Royal College of Art (RCA) and taught Graphic Design there for a year. A member of AGI since 2017, he has curated the International Typography Biennale and served as art director of the Seoul Design Festival. He currently teaches at Hongik University. Kwon Joonho 是一位平面设计师,也是首尔 Everyday Practice 工作室 (Hello EP) 的联合创始人。他在皇家艺术学院(RCA)学习视觉传达,并在那里教授了一年的平面设计。自2017 年起成为国际平面设计联盟(AGI)成员,曾策划国际排版双年展,并担任首尔设计节的艺术总监。目前在弘益大学任教。 #gdcaward #gdcjudge #gdcaward2025

2025년 07월 25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July 22, 2025 tagging @joonhosays, @aan.jyo, and @nationalmuseumofkorea. May be an illustration of ‎poster and ‎text that says '‎MANA MANAMOA ΜΟΑΝΑ Arts rtsofthe f the Great @CCan,OCEANIA Dcean, OCEANIA 국립중앙박물관 MUSEEDUQUAIBRANLY බා NPEAITERS MUSÉEDU Medapiaceae QUAI BRANLY 곡립중앙박물곤 특별전시실2 JACQUESC CHIRAC Special pecialExhibitionGallery2 Exhibition Gallery2 농물아분주시합진사입니다 National Museum of ofKorea وودد M ADk ลณ 마나 모아나 특별전 신성한 바다의 예술, 술,오세아니아 Exhibition Special 2025.4.30.WED BO.WED -9.14.SUN‎'‎‎.
여러장
1,813
13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마나 모아나: 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키비주얼 디자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마나 모아나: 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는 오세아니아 지역의 예술과 정신을 조명하는 특별전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오세아니아의 대표 유물 이미지를 중심에 배치하고, 해당 지역의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문양과 패턴, 파도의 리듬을 닮은 타이포그래피를 결합해 전시의 생동감과 시각적 특징을 담고자 했습니다. 각각 불(火)의 고리와 바다를 상징하는 붉은색과 푸른색의 문양은 유물에 새겨진 곡선과 기하학적 형태, 부족 문신에서 볼 수 있는 반복과 밀도의 구조에서 착안했습니다. 타이틀 레터링은 바다, 문신, 유물의 곡선과 형태에서 착안해 하나의 파도처럼 흐르도록 디자인되었고, 각 자소는 곡선의 연속성과 볼드한 형태감을 통해 전시의 에너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오세아니아 예술이 지닌 시각적 언어를 현대적인 그래픽으로 재해석하고자 했으며 키비주얼을 통해 전시의 주제를 이미지 안에서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그래픽&타이틀 디자인. 안지효 타이틀 디자인 자문. 박한솔 @hansol.woff 사진. 안지효 클라이언트. 국립중앙박물관 Key Visual Desig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pecial Exhibition Manamoana: Art of the Sacred Sea, Oceania Manamoana: Art of the Sacred Sea, Oceania is a special exhibition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at explores the spirit and artistry of the Oceanic region. Everyday Practice developed the key visual by placing a central artifact image at the forefront and combining it with patterns inspired by Oceanic art and typography reminiscent of wave rhythms, aiming to express the exhibition’s vibrancy and visual identity. The red and blue motifs—symbolizing the Ring of Fire and the sea—draw from the curved lines, geometric shapes, and dense, repetitive structures seen in artifacts and traditional tattoos. The exhibition title was designed to flow like a wave, reflecting the curves and forms found in Oceanic motifs. Each letterform was crafted with continuous curves and bold shapes to convey the dynamic energy of the exhibition. Through this key visual, Everyday Practice sought to reinterpret the visual language of Oceanic art in a contemporary graphic format, allowing viewers to intuitively experience the exhibition’s theme through imagery. Design Director. Joonho Kwon Graphic&Title Design. Jihyo Ahn Title Design Consultation. @hansol.woff Photography. Jihyo Ahn Client. National Museum of Korea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nationalmuseum ofkorea #manamoana #graphicdesign

2025년 07월 23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Photo shared by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on July 20, 2025 tagging @joonhosays, @hyunhoyang, @limminjae.kr, and @humanitasbook. May be an image of candle, poster, magazine, book and text that says '정의의그늘아래에서 그늘 그늘아래에서 정의의 전후자유주의와정치협회의지탄성 전후자유주의와 트리나포레스터지음 공민우박광훈·요식주을김'.
여러장
1,489
6

정의의 그늘 아래에서 후마니타스에서 출간한 <정의의 그늘 아래에서>는 20세기 후반에 존 롤스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 정치철학이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책입니다. 미국역사가협회 2020년 멀 커티 지성사상 수상작인 이 책은 정의, 평등, 의무, 국가에 관한 일련의 사상인 자유주의적 평등주의가 20세기에 어떻게 지배적인 사상이 되었는지 보여 주고, 전후 미국과 영국의 정치적, 이념적 맥락 속에서 그것의 출현과 이에 대한 도전, 변화를 추적합니다. 일상의실천은 존 롤스의 『정의론』을 바탕으로 케이크 나누기를 분배 정의의 은유로 삼고, 기후위기를 녹아내리는 촛농 케이크로 시각화했습니다. 다양한 색의 촛농은 『정의론』을 둘러싼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논의를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양현호 오브제 촬영. 임민재 책 촬영. 김진솔 클라이언트. 후마니타스 Under the Shadow of Justice Published by Humanitas, Under the Shadow of Justice explores how liberal political philosophy evolv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John Rawls. Awarded the 2020 Merle Curti Award in Intellectual History by the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the book shows how liberal egalitarianism—a constellation of ideas about justice, equality, obligation, and the state—became a dominant politic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and traces its emergence, challenges, and transformation within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texts of postwar America and Britain. Inspired by Rawls’s A Theory of Justice, Everyday Practice visualizes distributive justice through the metaphor of cutting a cake, while representing the climate crisis as a melting cake made of candle wax. The multicolored wax symbolically reflects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surrounding Rawls’s theory.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Yang Hyunho Objet Photography. Minjae Lim Book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Client. Humanitas #후마니타스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정의론  #design #Bookdesign #graphicdesign

2025년 07월 21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hello_ep 게시물 이미지: 《유영하는 세계: Bed, Bath, Bus》

《유영하는 세계: Bed,...
여러장
516
3

《유영하는 세계: Bed, Bath, Bus》 《유영하는 세계: Bed, Bath, Bus》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의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면모를 탐색하는 전시입니다. 잠, 목욕, 이동이라는 사적이고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현실과 비현실, 이성과 감각, 규칙과 탈주가 교차하는 지점을 드러냅니다. 익숙한 일상 속에 스며든 초현실적 장면들과 시각적 기호, 상징, 이미지들은 국내외 작가 10인의 감각을 통해 다시 구성되며, 관람자로 하여금 낯선 시선으로 현실을 재구성하게 합니다. 일상에서 포착된 틈새의 감각은 전시의 부제가 되며, 그 틈을 통해 새로운 상상을 제안합니다. 일상의실천은 이번 전시를 위해 세 가지 시리즈의 포스터와 모션 그래픽을 디자인했습니다. 흐르고 유영하는 전시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타이포그래피의 구조와 색면, 이미지의 결을 느슨하게 구성하고 해체했습니다. 비정형의 리듬을 지닌 배경과 선명한 색의 대비는 시각적 몰입감을 유도하며, 전시의 감각적 분위기를 강화합니다. 특히 모션 그래픽에서는 타이포그래피와 배경이 유영하듯 부유하며, 흐름과 전이의 감각을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권준호 모션. 정수이 도움. 장은아 공간. 곰디자인 사진. 양이언 클라이언트. 세화미술관 Floating World: Bed, Bath, Bus Floating World: Bed, Bath, Bus is an exhibition that explores the layered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the world we live in. Through intimate, repetitive acts such as sleeping, bathing, and commuting, the exhibition reveals points where reality and unreality, logic and sensation, order and escape intersect. Scenes infused with surreal qualities—symbols, signs, and imagery—are reassemble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ten artists from Korea and abroad, inviting viewers to reconstruct reality from unfamiliar angles. Sensory gaps observed in everyday life become the subtitle of the exhibition, opening portals to unexpected imagination.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ree poster series and a motion graphic for the exhibition. To translate the drifting and floating concept visually, the structure of typography, planes of color, and textures were loosely composed and partially dismantled. Irregular background rhythms and vivid color contrasts enhance immersion, amplifying the exhibition’s sensory atmosphere. In the motion graphic, typography and background drift fluidly, visually expressing the sense of transition and flow at the heart of the show.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oonho Kwon Motion graphics. Sui Jeong Assistance. Euna Jang Spatial Design. GOM Design Photograph. Ian Yang Client: Sehwa Museum of Art #일상의실천 #graphicdesign #posterdesign #motiongraphic #exhibitiondesign

2025년 07월 17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hello_ep 게시물 이미지: <떨어지는 눈> 전시 디자인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에서 열린 <떨어지는 눈>은...
여러장
1,277
3

<떨어지는 눈> 전시 디자인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에서 열린 <떨어지는 눈>은 눈(Eye)을 다양한 행위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눈을 통해 한국 동시대 회화를 행동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전시입니다. 눈은 피사체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감각 기관인 동시에 피사체를 탐색하는 능동적인 감각 기관입니다. 두 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눈의 특성은 관람객에게 객체이자 주체의 경험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눈의 다양한 행위를 두 개의 방향으로 분류합니다. 하나는 피사체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특성을 시선 추적(Eye Traking)의 경로로 표현하고, 전시를 형성하는 네 개의 기호를 활용합니다. 다른 하나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눈의 특성을 문자와 도형의 혼합 형식인 캘리그램(Calligramme)으로 표현합니다. 캘리그램은 문자를 읽는 동시에 보는 행위를 상징합니다. 네 개의 기호는 전시장 곳곳에 놓여 관람객의 동선을 유도하고, 문자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디자인. 김어진 모션그래픽. 양현호 클라이언트.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Take My Eyes Off <Take My Eyes Off> at the Buk-Seoul Museum of Art(SeMA Buk-Seoul) explores the eye not just as a passive organ that reacts to what it sees, but also as an active tool that looks and searches. This exhibition looks at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through the actions of seeing. Everyday Practice approaches the “eye” in two ways. First, the passive act of following visual information is shown as eye-tracking paths, using four key graphic symbols. Second, the active act of reading and observing is expressed through Calligrammes, where letters form shapes—so viewers read and see at the same time. These four graphic symbols appear throughout the exhibition space. They guide visitors and help them explore where text-based information is located. Design. Eojin Kim Motion Graphic. Hyunho Yang Client. SeMA Buk-Seoul #SeMA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떨어지는눈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poster #design #exhibition #graphicdesign

2025년 07월 10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
hello_ep 게시물 이미지: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서울드럼페스티벌은 1999년부터...
여러장
593
2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서울드럼페스티벌은 1999년부터 시작된 한국의 대표적인 타악 공연 축제입니다. 27회를 맞이한 서울드럼페스티벌은 새로운 아이덴티티와 함께 타악 공연의 의미를 확장할 수 있는 키비주얼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웹사이트의 디자인은 서울드럼페스티벌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는 중요한 매체로, 대중에게 타악 공연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의 키비주얼은 지난해 새롭게 개발한 방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타악을 상징하는 악기의 3D 개체와 각 정보를 담는 틀(Frame)의 표현을 세밀하게 조정해 전반적인 완성도를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다양한 조합으로 완성되는 구조는 여러 매체 비율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https://seouldrumfestival.com/ 디자인. 김어진 3D 모델링 & 모션. 김어진, 정수이 트레일러 사운드. 김어진 웹사이트 디자인 및 개발. 신지웅 Seoul Drum Festival 2025 & Website Design Seoul Drum Festival is South Korea’s leading percussion performance festival that began in 1999. Now in its 27th annual, the festival has developed a new identity and key visuals that expand the meaning of percussion performance. The design of the website is also an important medium to maintain the festival‘s identity, providing information to make percussion performance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The key visuals for Seoul Drum Festival 2025 continue the new direction developed last year. The 3D objects of the instruments that symbolize percussion and the frames that hold each piece of information have been fine-tuned to improve the overall completeness. The structure, which can be completed in various combinations, can also be utilized to suit different media proportions. Design. Eojin Kim 3D Modeling & Motion graphics. Eojin Kim, Sui Jeong Trailer sound. Eojin Kim Website design and development. Jiwoong Shinn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서울드럼페스티벌 #seouldrumfestival #poster #graphicdesign #identitydesign #포스터 #그래픽디자인 #웹사이트 #website

2025년 06월 26일 인스타그램에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