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검색 계정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hello_ep) 인스타그램 상세 프로필 분석: 팔로워 88,971, 참여율 0.95%

@hello_ep
비즈니스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Seoul based graphic design studio member of AGI @agigraphic 인턴 지원하기 👉🏻 프로필 링크 🔗 📧 hello@everyday-practice.com
https://www.manifesto.ing/@hello_ep님과 연관된 프로필
@hello_ep 계정 통계 차트
게시물 타입 분포
시간대별 활동 분석 (최근 게시물 기준)
@hello_ep 최근 게시물 상세 분석
이미지 게시물 분석
여러 장 게시물 분석
@hello_ep 최근 게시물

[인턴 채용 공고] 일상의실천에서 편집 / 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일상의실천은 그래픽디자인의 경계를 확장하며, 시각언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나가고자 합니다. 이 여정에 함께할 편집 / 그래픽 디자이너 분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다립니다. 🧭🔭 ⸻ [모집 분야] 🟡 편집 / 그래픽 디자이너 (인턴) – 한글 및 영문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디자이너 – 인디자인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디자이너 ⸻ [근무 정보] – 근무 형태: 인턴십 – 근무 기간: 2025년 10월 13일 ~ 12월 31일 – 근무 시간: 월–금, 10:00–19:00 – 근무 장소: 서울시 마포구 포은로 127, 망원제일빌딩 3층 일상의실천 – 급여: 협의 ⸻ [지원 안내] – 지원 마감: 2025년 9월 30일(화) 자정까지 – 지원 방법: 이메일 접수 → internship.helloep@gmail.com – 제출 서류: 자유 형식의 포트폴리오 (100mb 이내의 PDF) + 간단한 자기소개 ⸻ 많은 관심과 지원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북도립미술관 《진격하는 B급들》 전북도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진격하는 B급들》은 국내외 22팀의 작가가 참여하여 동시대 시각예술 속에서 ‘B급 언어’와 ‘병치의 미학’을 통해 주류와 비주류,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경계를 흔들고 자본주의적 조건 속에서 소외된 존재들을 조명하는 기획 전시입니다. 작품들은 파편화된 현실을 다양한 시각으로 엮어내며, 감각의 평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일상의실천은 파편화된 현실에 대한 다양한 시각, 그 안에서의 B급 언어라는 개념을 기 드보르의 작품 <벌거벗은 도시>(The Naked City), 1957과 연결시켜 시각화였습니다. 드보르는 도시를 하나의 질서 정연한 지도 대신, 개인의 감각과 경험을 따라 재구성한 지도를 그려냈으며. 이는 기존 체계에서 주변으로 밀려난 조각들을 다시 연결하여 새로운 풍경을 드러내는 시도로써 《진격하는 B급들》의 포스터를 구성하는 시각 언어의 모티브로 활용하였습니다. 지도와 좌표계를 연상시키는 구조 속 느슨한 연대의 형태로 흩어진 정보값들은 다층적인 관계망을 시각화하며, 글자를 인쇄하고 조각내고 스캔하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개발된 타이포그라피는 전시가 담은 불완전한 상태 속의 새로운 공동체적 세계를 함축적으로 담아냅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그래픽디자인. 임민재 촬영. 임민재 클라이언트. 전북도립미술관 Jeonbuk Museum of Art 《B-Class Jokes》 The B-Class Jokes, held at the Jeonbuk Museum of Art, is a curated exhibition featuring 22 teams of artists from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rough ‘B-Class language’ and ‘the aesthetics of juxtaposition’ within contemporary visual art, it shakes the boundaries between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normal and abnormal, while illuminating marginalized beings within capitalist conditions. The works weave together fragmented realities from diverse perspective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grounded in sensory equality. Everyday Practice visualized diverse perspectives on fragmented reality and the concept of B-Class language within it, connecting it to Guy Debord’s work <The Naked City>, 1957. Debord depicted the city not as an orderly map but as one reconstructed following individual senses and experiences. This attempt to reconnect fragments pushed to the margins by existing systems to reveal new landscapes served as the visual motif for the poster of The B-Class Jokes. Project Director. Kwon Joonho Graphic Design. Lim Minjae Photography. Lim Minjae Client. Jeonbuk Museum of Art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그래픽디자인 #graphicdesign #디자인 #design #포스터디자인 #posterdesign #graphicposter #typography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키비주얼 디자인 ‘서울라이트 DDP’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건축 외벽을 스크린 삼아, 빛의 대규모 프로젝션 맵핑으로 도시의 밤을 밝히는 미디어아트 프로젝트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여름, 가을, 겨울 세 시즌에 걸쳐 연 3회 운영되는 각 시즌의 키비주얼을 디자인했습니다. 이번 여름 포스터는 DDP의 디지털·건축·도시적 장소성을 중심에 두고, 건축과 빛의 만남, 굴절과 반사, 테크놀로지와 감성이 교차하는 장면을 시각적으로 해석했습니다. DDP 외벽에 반사된 빛의 몽환적 색채를 중심 이미지로 구성하고, 곡선의 유기적 변주를 활용해 타이틀에 건축의 구조성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시리즈 전반에서는 하나의 타이틀(SEOUL LIGHT)을 유지하며 계절별 이미지의 변주와 모션을 통해 몰입형 키비주얼을 형성합니다. 또한 시즌 간 브랜딩의 일관성을 확보하면서도 각 회차의 독립적인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그래픽 디자인. 권준호, 안지효 모션. 정수이 클라이언트. 서울디자인재단 사진. 김진솔 @jskstudio_official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Summer Seoul Light DDP is a media art project that transforms the architectural facade of Dongdaemun Design Plaza (DDP) into a massive projection-mapping canvas, illuminating the city at night.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key visuals for all seasonal editions—summer, autumn, and winter—of the 2025 series. The summer poster visualizes the interplay of architecture and light by focusing on DDP’s digital, architectural, and urban identity. Reflected light on the DDP surface creates a dreamlike visual center, while the title typography incorporates organic curves to reflect the structural language of the building. The series maintains a unified “SEOUL LIGHT” title, with seasonal variations in imagery and motion to ensure both consistency and distinctiveness.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Graphic Design. Joonho Kwon, Jihyo Ahn Motion. Sui Jeong Client. Seoul Design Foundation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graphicdesign #seoullightddp2025 #posterdesign #서울라이트 #ddp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 2024년부터 ‘미술주간’에서 ‘미술축제’로 이름을 새롭게 바꾼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는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대구사진비엔날레, 바다미술제,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아시아프,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청주공예비엔날레, 키아프 서울 · 프리즈 서울 등 전국 각지의 다양한 미술 행사 및 전시를 통합 · 연계한 홍보를 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미술축제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축제를 상징하는 현판식의 리본을 그래픽 모티프로 재해석하여 축제의 대표명인 ‘미술축제’의 활력넘치는 축제의 인상을 전달할 수 있는 레터링을 디자인했습니다. 다채로운 색상은 축제의 경쾌한 인상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제호에 장평이 좁은 서체를 활용해서 축제 정보 전달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각 행사들의 하위정보들의 레이아웃을 키비주얼의 구역과 구분함으로써 다양한 행사들을 하나의 대지에 담는 동시에 키비주얼 운용에 용이하도록 디자인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김어진 디자인. 양현호 모션그래픽. 양현호, 정수이 촬영. 일상의실천, 예술경영지원센터, 필더필 클라이언트.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2025 Korea Art Festival Renamed from ‘ART WEEK’ to ‘ART FESTIVAL’ starting in 2024, the ‘2025 KOREA ART FESTIVAL’ is the nation‘s largest art festival, integrating and promoting diverse art events and exhibitions nationwide, including the Gwangju Design Biennale, Daegu Photo Biennale, Sea Art Festival, Seoul Mediacity Biennale, World Seoye Biennale of Jeonbuk-state, ASYAAF,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Cheongju Craft Biennale, Kiaf SEOUL · Frieze Seoul, and other diverse art events and exhibitions nationwide. Everyday Practice reinterpreted the ribbon from the ribbon-cutting ceremony, which can symbolize a festival, as a graphic motif, designing lettering for the festival’s representative name, ‘ART FESTIVAL,’ to convey a vibrant, energetic impression. The diverse colors capture the festival‘s lively spirit. Additionally, a narrowly spaced typeface is used for the title to enhance readability of festival information. The layout of sub-information for each event is separated from the key visual area, allowing diverse events to be contained within a single space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key visual. Project Director. Eojin Kim Design. Hyunho Yang Motiongraphic. Hyunho Yang, Sui Jeong Photography. Everyday Practic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FILL THE FEEL Clien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2025대한민국미술축제 #미술축제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design #Posterdesign #graphicdesign

보고싶어, 니 영화! 2025 서울독립영화제 @siff.kr 는 매년 겨울에 개최되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도전을 지원하는 영화제입니다. 지난 8월 2025년 서울독립영화제 참가를 위한 공모가 진행됐습니다. 일상의실천은 2025 서울독립영화제 작품 공모 ’보고싶어, 니 영화!’를 위한 그래픽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보고싶어’라는 타이틀의 시각적 메타포와 카메라 렌즈를 모티프로 영화의 요소를 시각화한 타이포그래피 시스템과 그래픽을 구성했습니다. 여러겹의 원형 구조를 타이포그래피에 적용했으며, 다이나믹한 색채의 그라이언트 스펙트럼을 통해 다양성과 창의성을 전달하고자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그래픽 디자인. 안지효 클라이언트. 서울독립영화제 We Want Your Film! 2025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siff.kr The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SIFF) is held every winter and supports new directions and bold challenges in Korean cinema. This past August, SIFF opened its call for submissions for the 2025 edition. Everyday Practice developed the graphic design for the 2025 SIFF call for entries, titled “I Want to See Your Film!” The title’s visual metaphor—“I want to see”—was interpreted through the motif of a camera lens, forming the basis for a typographic system and graphic structure that reflect cinematic elements. The design incorporates multiple concentric circles into the typography, symbolizing layers of perspective and vision. A dynamic gradient spectrum was applied to express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at the heart of independent filmmaking.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Graphic Design. Jihyo Ahn Client.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siff.kr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graphicdesign #siff2025 #posterdesign #서울독립영화제 #보고싶어니영화 #wewantyourfilm

일상의실천 권준호 디자이너가 〈SHARE X INSIGHT OUT〉에서 〈질문하는 눈, 말하는 손〉을 주제로 강연합니다. 그래픽 기반의 언어가 아이덴티티, 모션그래픽, 웹을 넘어 사회적 발언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나눕니다. 📍 9월 24일(수) 13:00–18:30 삼성동 섬유센터 3층 Tex-Fa홀 MOHS · TRIANGLE-STUDIO · ORKR · CBR · 일상의실천 오늘날 그래픽 신을 함께 만들어가는 다섯 팀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그래픽 디자인의 내일을 직접 확인하고 싶다면, 이번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시선과 통찰을 만나보세요. 👉 신청은 프로필 링크에서! https://abit.ly/wcivgz Joonho Kwon of EVERYDAY PRACTICE will speak at 〈SHARE X INSIGHT OUT〉 under the theme 〈Eyes that Question, Hands that Speak〉, sharing how the graphic language expands across branding, web, and motion graphics. 📍 September 24 (Wed), 1:00–6:30 PM Tex-Fa Hall, 3F Textile Center, Samseong-dong, Seoul MOHS · TRIANGLE-STUDIO · ORKR · CBR · EVERYDAY PRACTICE Five leading teams shaping today’s graphic scene will be on stage. If you want to experience the future of graphic design firsthand, join us at this conference to share fresh perspectives and insights. 👉 Register via the profile link! https://abit.ly/wcivgz #SHAREX #INSIGHTOUT #DesignConference #그래픽디자인 #일상의실천 #권준호

<영등포 디자인캠프 2025> 멘토 디자인 교육 커뮤니티 ‘디학’과 크리에이티브 플랫폼 ‘노트폴리오’가 공동 주최하는 <디자인캠프>는 예비/현직 디자이너들이 멘티로 참가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멘토들과 함께 디자인을 경험하는 디자인 프로그램입니다. <디자인 캠프>는 포항, 광주, 안산 등 다양한 도시에서 개최했으며, 2025년 영등포에서 11번째 행사를 맞이하게 됐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영등포 디자인캠프 2025>에 멘토로 참여했습니다. 김어진, 안지효, 양현호, 신지웅 네 명의 멘토는 15명의 멘티와 한 팀을 이뤄 3박 4일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옆( ): 가까운 것의 재발견과 시각화’라는 주제는 미시적/거시적 관계, 보이지 않지만, 영향을 주는 존재들에 대한 질문을 담고 있습니다. 질문에서 시작된 관찰은 사람, 공간, 관계, 동선 등 다양한 소재를 탐구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서사로 시각화되는 결론에 도착하게 됐습니다. 총 7팀이 진행한 이번 결과물의 매체는 자유롭고, 표현에 제약은 없는 전시의 형태로 관람객과 마주하게 됐습니다.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준 15명의 멘티 분들께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멘토: 김어진, 안지효, 양현호, 신지웅 멘티: 곽민주, 김하경, 김한나, 박민지, 박소영, 박유진, 박찬희, 성지혜, 육영서, 이한별, 정다찬, 지승아, 최문형, 최윤정, 한지수 <Yeongdeungpo Design Camp 2025> Mentor Co-hosted by the design education community @designschool.kr and the creative platform @notefolio , <Design Camp> is a design program where aspiring and practicing designers participate as mentees to experience design alongside mentors active in diverse fields. <Design Camp> has been held in various cities, including Pohang, Gwangju, and Ansan, and now celebrates its 11th event in Yeongdeungpo in 2025. Everyday Practice participated as mentors in <Yeongdeungpo Design Camp 2025>. Four mentors—Eojin Kim, Jihyo Ahn, Hyunho Yang, and Jiwoong Shin—formed teams with 15 mentees to run the program over three nights and four days. The theme, ‘Beside ( ): Rediscovering and Visualizing the Nearby,’ explored questions about micro/macro relationships and unseen yet influential entities. The observation process, initiated by these questions, explored diverse subjects like people, spaces, relationships, and movement patterns, culminating in a conclusion visualized as a single narrative. The final works from the 7 teams were presented to the audience in an exhibition format, featuring free choice of media and unrestricted expression. We extend our heartfelt gratitude to the 15 mentees who gave their all and never gave up until the very end. #designcamp2025 #notefolio #everydaypractice #graphicdesign #디학

주한독일문화원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키비주얼 디자인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는 괴테 인스티튜트 주최의 동·중앙아시아와 독일 예술가, 큐레이터들이 ’Solitude(고독)‘를 각자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그 다층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예술프로젝트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외로움과 자유라는 고독의 양면적 특성을 대칭의 이미지로 시각화한 키비주얼을 디자인했습니다. 고독의 감정을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유사 관계로 해석하고, 그 긴장 관계를 시각화하기 위한 조형 언어로 ‘대칭’을 주요 키워드로 삼았습니다. 비상하는 나비의 형상을 모티프로 설정하여, 감정의 결말을 자유롭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상징화하였으며, 수채화의 색감과 질감을 활용해 부드럽고 유기적인 시각 언어로 구현했습니다. 또한 데칼코마니 기법을 활용한 시각 구조를 통해 외로움과 자유가 서로를 비추는 감정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타이틀은 영문과 독문을 좌우로 대칭 배치하고, 일부 자소에 픽셀 그래픽 요소를 삽입해 감정의 ‘변모’를 나타내고자했습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그래픽&타이틀 디자인. 안지효 모션. 정수이 클라이언트. 주한독일문화원 Key Visual Design for Goethe-Institut Korea’s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is an art project organized by the Goethe-Institut, bringing together artists and curators from Central and East Asia and Germany to explore the layered meanings of solitude.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key visual by interpreting loneliness and freedom as inseparable facets of solitude, visualized through the concept of symmetry. A butterfly in flight serves as the central motif, symbolizing emotional liberation. Soft gradients and watercolor textures convey an organic atmosphere, while decalcomania techniques highlight the mirrored tension between solitude’s dual aspects. The English and German titles are placed symmetrically, with pixel-like graphic elements embedded in selected letters to express transformation at the heart of the work. Design Director. Joonho Kwon Graphic Design. Jihyo Ahn Motion. Sui Jeong Client. Goethe-Institut Korea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Goethe-Institut #graphicdesign #Solitude

전기가오리 웹사이트 전기가오리는 사회정치적인 주제의 철학적 측면에 주목하고, 반엘리트주의를 지향하며, 철학을 둘러싼 지식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학문 공동체입니다. 철학을 신화나 권위가 아닌, 누구나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영역으로 끌어내고자 하는 목표 아래에, 각종 온오프라인 스터디 자료를 출판하는 자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전기가오리의 새로운 웹사이트를 디자인하고 개발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전기가오리가 제공하는 풍부하고 다채로운 콘텐츠를 명확한 위계 속에서 정리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단순히 사용자 경험에 그치지 않고, 관리자 역시 사이트를 직관적이고 간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관리 시스템을 함께 설계 및 개발하였습니다. 웹사이트의 시각적 구성에서는 기존 아이덴티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친근하고 이해하기 쉬운 그래픽 언어로 풀어내고자 했습니다. 동시에 실험적인 레이아웃과 인터랙션을 도입하여, 전기가오리가 추구하는 ‘누구나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철학’과 ‘반엘리트주의’의 메시지를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을 시도했습니다. https://philo-electro-ray.org/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김경철 디자인. 신지웅 개발. 신지웅 클라이언트. 전기가오리 Philo Electro Ray Website Philo Electro Ray is an academic community that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socio-political issues, advocates anti-elitism, and seeks to bridge the knowledge gap surrounding philosophy. Under the goal of bringing philosophy out of the realm of myth and authority and into an area where anyone can study together, it operates its own platform that publishes various online and offline study materials. Everyday Practice designed and developed the new website for Philo Electro Ray. The project focused on structuring the platform’s diverse and extensive content within a clear hierarchy, enabling users to access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Beyond enhancing user experience, the system was also designed and developed to allow administrators to manage the site in a straightforward and intuitive manner. Visually, the website builds on the existing identity, translating it into a clear and approachable graphic language. At the same time, experimental layouts and interactions were introduced to metaphorically convey Philo Electro Ray’s philosophy of “learning together” and its anti-elitist stance.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Kyungchul Kim Design. Jiwoong Shinn Development. Jiwoong Shinn Client. 전기가오리 #일상의실천 #웹사이트 #웹디자인 #웹개발 #website #webdesign #webdevelopment #uxui #graphic

CODE Korea CODE Korea는 한국 문화, 패션, 디자인, 경험을 집약해 세계 무대에 선보인 프로젝트입니다. 피렌체 피티 우오모(Pitti Uomo)에서 개최되었으며,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후원으로 폴베리에라(Polveriera) 공간에서 다채로운 한국적 정체성을 드러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이번 프로젝트의 아이덴티티, 키 비주얼, 모션그래픽을 총괄했습니다. “코드(code)”라는 개념을 전통과 디지털, 정형과 유연성 사이의 긴장 속에서 풀어내며, 구조적이면서도 유기적인 그래픽 요소를 통해 한국적 정체성과 현대적 감각의 접점을 시각화했습니다. 참여 브랜드 각각의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일관된 디자인 톤을 유지하여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흐름을 만들었고, ‘확장’과 ‘연결’을 주제로 한 모션그래픽을 통해 전시 공간 안팎에서 한국 문화가 퍼져나가는 생동감 있는 경험을 구현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장치를 통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한국 문화가 가진 에너지와 현재성을 직관적으로 체감하도록 의도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아이덴티티 & 그래픽 디자인. 권준호 모션 그래픽. 정수이 사운드. 신지웅 도움. 장은아 클라이언트. Pitti Immagine CODE Korea CODE Korea presented Korean culture, fashion, design, and experience on the global stage at Pitti Uomo in Florence. Support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the project highlighted the diversity of Korean identity within the Polveriera space. Everyday Practice directed the overall design, creating the identity, key visuals, and motion graphics. The concept of “code” was translated into a visual language that balances tradition and digital, structure and fluidity. By respecting the individuality of each participating brand while maintaining a cohesive design tone, we built an organic flow across the exhibition. Through motion graphics themed on “expansion” and “connection,” we intended for visitors to sense not just information, but the energy and contemporaneity of Korean culture.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Identity & Graphic Design. Joonho Kwon Motion Design. Sui Jeong Sound. Jiwoong Shinn Assistant. Euna Jang Client. Pitti Immagine #EverydayPractice #IdentityDesign #GraphicDesign #MotionGraphics #VisualIdentity #DesignStudio #CODEKorea #pittiuomo

《집중호우사이》 정태춘·박은옥 12집 앨범 커버 디자인 《집중호우사이》는 정태춘·박은옥의 열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삶의 흐름 속에서 마주하는 감정과 기억을 담고 있습니다. 커버 디자인은 각 곡의 가사에서 발췌한 문장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흩어진 메모처럼 배치해 조용하고 사적인 정서를 시각화하고자 했습니다. 앨범의 제목이 환기하는 감정의 순간들은 짧고도 깊게 스며드는 집중호우 같기도 합니다. 이러한 정서를 담기 위해 거친 질감의 배경 위에 손글씨를 직접 오려내어 배치하고, 수작업으로 조형한 타이포그래피를 더해 아날로그적 따뜻함과 촉감을 부여했습니다. 디자인은 감정을 과장하지 않고 절제된 형식 안에서 진정성을 담고자 했으며, 손으로 직접 다듬은 흔적을 통해 곡이 가진 감정의 결을 더욱 진솔하게 전하고자 했습니다. 디자인. 권준호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정태춘, 박은옥 《Between Heavy Showers》 Album cover design for Jung Tae-chun & Park Eun-ok’s 12th studio album Between Heavy Showers is the 12th studio album by Jung Tae-chun and Park Eun-ok, capturing fragments of emotions and memories encountered in the flow of life. The cover design centers around selected phrases from the lyrics, arranged like scattered notes to visually convey a quiet, intimate atmosphere. The title evokes moments of emotion that fall suddenly and deeply, like a brief but intense downpour. To reflect this sensibility, the design incorporates handwritten text cut and arranged by hand, layered over a textured background. Typography elements were also crafted manually, adding a sense of analog warmth and tactile presence. Rather than exaggerating emotion, the design seeks sincerity through restraint. The handmade details offer a subtle yet honest reflection of the emotional texture embedded in each song. Design: Joonho Kwon Photography: Jinsol Kim Client: Jung Tae-chun & Park Eun-ok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coverdeign #정태춘박은옥 #집중호우사이 #graphicdesign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기가오리는 사회정치적인 주제의 철학적 측면에 주목하고, 반엘리트주의를 지향하며, 철학을 둘러싼 지식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학문 공동체입니다. 철학을 신화나 권위가 아닌, 누구나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영역으로 끌어내고자 하는 목표 아래에, 각종 온·오프라인 스터디 자료를 출판하는 자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전기가오리의 명함, E-Book, 시각물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전기가오리에서의 브랜드 경험과 콘텐츠 제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접근법 아래에, 시각적으로는 전기가오리의 철학 텍스트와 교육 콘텐츠를 가독성 있고 일관성 있게 전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무료 배포된 서체만을 활용하여 내부 운영자로 하여금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컨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강화된 시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기가오리의 개성과 철학적 이미지를 시각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에 반영하였으며, 키컬러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카테고리화 하였습니다. 향후 다양한 콘텐츠를 일관된 형식으로 확장·배포할 수 있는 디자인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기가오리의 컨텐츠를 더 많은 독자에게 깊이 있고 매력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핵심적인 시각·기술적 토대를 디자인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임민재 클라이언트. 전기가오리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Philo Electro Ray is an academic community that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socio-political issues, advocates anti-elitism, and seeks to bridge the knowledge gap surrounding philosophy. Under the goal of bringing philosophy out of the realm of myth and authority and into an area where anyone can study together, it operates its own platform that publishes various online and offline study materials. Everyday Practice developed Philo Electro Ray’s business cards, E-Book, and visual identity system. Under the approach of enhancing brand experience and content production efficiency at Philo Electro Ray, the visual design focuses on conveying Philo Electro Ray’s philosophical texts and educational content in a readable and consistent manner. The design utilizes only freely distributed fonts to enable internal operators to produce content efficiently and sustainably. Additionally, we reflected Philo Electro Ray’s unique personality and philosophical imagery in visual elements and typography to provide a visually enhanced brand identity experience, and used an expanded color palette to intuitively categorize diverse content.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Minjae Lim Client. Philo Electro Ray #design #그래픽디자인 #편집디자인 #명함디자인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graphicdesign #editorialdesign #bookdesign #businesscarddesign #전기가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