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검색 계정
피티 스튜디오 | 운동 가이드 채널(@pt.studio_) 인스타그램 상세 프로필 분석: 팔로워 78,419, 참여율 0.47%
@pt.studio_
인증됨 비즈니스피티 스튜디오 | 운동 가이드 채널
운동으로 움직임의 미래와 가치를 만들다. 👨⚕️n년차 물리치료사, 前 국가대표 팀닥터 🏋️♂️트레이너,강사,치료사가 배우는 공간 ⬇️메디칼 케어 상담예약 신청하러 가기
@pt.studio_님과 연관된 프로필
@pt.studio_ 계정 통계 차트
게시물 타입 분포
시간대별 활동 분석 (최근 게시물 기준)
@pt.studio_ 최근 게시물 상세 분석
동영상 게시물 분석
여러 장 게시물 분석
@pt.studio_ 최근 게시물
[PT스튜디오 × 메디칼케어] 신뢰는 공간을 만들고, 공간은 기준이 됩니다. PT스튜디오가 함께하는 단 하나의 선택, 대구 수성구 ‘메디칼케어’. 재활·교정·퍼포먼스를 넘어, 몸에 꼭 맞는 해답을 찾는 공간. 운동의 본질에 더 가깝게 다가갑니다. 물리치료학과 3인의 교수진, PT스튜디오 전속 트레이너, 그리고 정형화되지 않은 맞춤 트레이닝까지. 하나하나가 진짜를 위한 설계입니다. 단순한 운동을 넘어서, 몸의 구조와 움직임을 이해하고 다루는 정확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위치 대구 수성구 동대구로52길 14-3, 2층 ( 본점 ) 대구 수성구 청호로 377 2층 ( 2호점 ) 혜택 “PT스튜디오 보고 왔어요” 한마디면 모든 프로그램 10% 할인 적용! 자세한 프로그램 안내와 등록은 DM으로 언제든 편하게 문의 주세요. 당신의 운동, 이제는 가장 전문적인 공간에서 시작해보세요.
🧠 운동을 했는데 오히려 근육이 줄어든다고? ‘운동을 많이 할수록 성장한다’는 말, 사실 절반만 맞는 말이다. 우리 몸은 ‘운동’ 자체보다 운동 후 회복 과정에서 성장한다. 하지만 이 회복보다 자극이 더 많아지는 상태 — 즉, 과훈련(Overtraining) — 에서는 오히려 근육이 분해되고, 회복이 늦어지며, 결국 체력이 점점 떨어지는 악순환이 생긴다. ⸻ 🔍 과훈련의 생리학적 변화 📚 Hill & Hackney (2024), Overtraining and the Endocrine System 📚 Diagnosing Overtraining Syndrome (Frontiers in Physiology, 2022) 1️⃣ 호르몬 불균형 • 코르티솔(Cortisol) ↑ → 단백질 분해 촉진 •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 → 근합성 저하 • T/C 비율(Testosterone / Cortisol) ↓ → 과훈련 대표 지표 2️⃣ 염증 및 면역 반응 • 과도한 자극 → IL-6, TNF-α, CK 상승 • 근섬유 손상 후 회복 지연, 염증 지속 • 근육 단백질 합성률(MPS) 저하 → 근육 손실(Muscle atrophy) 위험 3️⃣ 영양·에너지 불균형 • 에너지 섭취 부족 → 글리코겐 고갈, 피로 누적 • 단백질 섭취 불균형 → 회복력 저하 • 장기적으로 RED-S(에너지 결핍 증후군) 발생 가능 ⸻ ⚠️ 이런 신호가 있다면 이미 과훈련 상태 ☑️ 운동 의욕 저하, 수면 장애 ☑️ 맥박·혈압 불안정 ☑️ 체중 감소, 식욕 저하 ☑️ 근육통이 오래 지속됨 ☑️ 평소보다 회복 속도가 느림 이 시점부터는 회복보다 손상이 앞서는 상태로, 운동량을 줄이지 않으면 근육이 계속 줄어들 수 있다. ⸻ ✅ 회복도 훈련의 일부다 과훈련을 예방하려면 “훈련 계획”보다 “회복 계획”이 먼저다. • 💤 주 1회 완전 휴식일 확보 • 📆 4~6주 단위 deload week 설정 • 🕖 7시간 이상 숙면 유지 • 🍚 충분한 탄수화물 + 단백질 섭취 • ❤️ HRV(심박변이도) 로 회복 상태 체크 💬 “운동은 근육을 찢는 과정이고, 회복은 근육을 만드는 과정이다.” 운동량보다 중요한 건, 얼마나 잘 회복하느냐. ⸻ 📖 출처 Hill & Hackney, 2024. Overtraining and the Endocrine System. Endocrinologist. Frontiers in Physiology, 2022. Diagnosing Overtraining Syndrome.
피티도 몰래보는 케틀벨 순환운동 케틀벨 순환운동은 ‘근력 + 심폐 + 리듬’을 한 번에 훈련할 수 있는 최고의 방식입니다. 전신이 하나로 연결된 느낌,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폭발력과 안정성의 밸런스. 무게보다 중요한 건 ‘흐름’입니다. 움직임이 멈추지 않는 한, 몸도 강해집니다. @patdamiano_ 감사합니다
💪 운동 다음날 근육통이 심하면 근육이 성장한 걸까? 운동 후 찾아오는 근육통(DOM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은 낯선 근수축이나 고강도 운동 후 12~72시간 뒤에 발생하는 통증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통증을 근육 성장의 신호로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근육 손상과 염증 반응의 결과일 뿐이다. ⸻ 📚 Damas et al., 2022 (Frontiers in Physiology) 이 연구는 14명의 저항운동 숙련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진은 한쪽 다리에 근육 손상을 유도해 통증을 크게 만들고, 반대쪽 다리는 손상을 최소화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근단백질 합성률(MPS) 은 통증 강도와 상관이 없었다. (r = 0.03, p > 0.5) • 근단면적 증가율(CSA) 은 손상군 +4.2%, 비손상군 +4.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84) • 염증 마커(IL-6, CK) 는 손상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통증이 크다고 해서 근육이 더 성장하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염증 반응이 심해지면 회복 기간이 길어지고, 다음 트레이닝의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 🔥 결론 통증은 근육이 성장하는 신호가 아니라, 손상과 염증의 신호이다. 근육을 키우는 핵심은 통증이 아니라 지속적인 루틴과 충분한 회복이다. ⸻ ✅ 실전 적용 팁 • 통증이 심할 때는 고강도 운동을 피하고, 회복 중심으로 전환한다. • 가벼운 유산소나 스트레칭으로 혈류를 유지하고, 단백질 섭취와 수면을 충분히 확보한다. • ‘통증이 있어야 성장한다’는 믿음을 버리고, 꾸준히 누적되는 자극과 회복의 균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 출처 Damas, F., et al. (2022). Myofibrillar protein synthesis and muscle hypertrophy are not correlated with muscle damage and soreness. Frontiers in Physiology, 13:974536
피티도 몰래보는 농구 퍼포먼스의 시작점 농구는 평균 2–3초마다 방향 전환이 일어나고, 그 중 45%가 Frontal Plane, 즉 ‘측면 움직임’입니다. 단순히 위로 점프한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Lateral Depth Jump는 착지 순간의 ‘반응 속도’와 측면 방향 전환 시 **말단에서부터의 안정성(distal → proximal control)**을 강화합니다. 이 짧은 순간에 발목–무릎–고관절이 같은 방향으로 협응하지 않으면 코트에서는 속도보다 먼저 밸런스가 무너집니다. 🏀 코트에서의 민첩함은 직선이 아니라, ‘측면에서’ 만들어집니다. @felixflores87 감사합니다!
🧠 공복 유산소, 지방은 타도 효율은 떨어진다 운동 전 아무것도 먹지 않으면 지방이 더 잘 탈 거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2025년 최신 메타분석(Zhang et al.) 결과, 공복 운동은 단기적으로 지방 이용률만 높을 뿐, 체지방 감량 효과는 식후 운동과 동일하다. ⸻ 📈 핵심 결과 요약 • 공복 운동 시 지방 이용률 약 +12%↑ (일시적) • 총 지방 연소량 및 체지방 감량 효과 → 차이 없음 • 혈당·인슐린 반응은 오히려 더 큰 상승 (보상적 반응) 즉, “공복이면 지방이 더 타겠지?”는 단기 대사 변화일 뿐, 장기적 감량에는 의미가 없다. ⸻ ✅ 공복 운동이 괜찮은 경우 • 아침 저강도 운동 (산책, 싸이클 등) • 짧고 가벼운 유산소 ❌ 비추천 • 고강도(HIIT, 웨이트 전 유산소 등) • 장시간 공복 상태에서의 운동 ⸻ 📚 출처 Zhang et al., 2025.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on Fasted vs. Fed Exercise. PubMed ID: 39921164 ⸻ 🔥 결론 공복 운동은 지방을 조금 더 쓰지만, 효율은 떨어지고 결과는 같다. 공복은 선택일 뿐, 결과를 만드는 건 루틴이다.
피티도 몰래보는 대퇴사두근 최대 활성화 각도 Akima et al. (2023, Scientific Reports)에 따르면, 무릎을 약 60도 굽힌 상태에서 대퇴사두근 전체 — 특히 깊은 층의 중간광근(Vastus Intermedius) — 의 근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즉, 이 각도는 단순한 ‘버티기’가 아니라 📈 근신경 자극이 극대화되는 구간이며, ✅ 대퇴사두근 근력 강화, ✅ 무릎 안정성 향상, ✅ 관절 내구성 향상을 동시에 이끌어냅니다. 이 구간에서의 **isometric hold(등척성 수축)**은 운동 초보자부터 고강도 트레이닝 중인 선수까지 모두에게 관절 부담을 줄이면서도 효율적인 근신경 자극을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 핵심은 ‘얼마나 버티느냐’가 아니라, ‘어디서 버티느냐’입니다. 무릎을 60도 굽힌 자세에서 대퇴사두근의 긴장을 끝까지 유지해보세요. 당신의 무릎이 버티는 힘이 달라질 것입니다.
️ 유산소+웨이트 같이 하면 근력 줄어들까? 💡결론부터 말하면, NO! 제대로 설계하면 근력은 충분히 지킬 수 있다. ⸻ 📊 2024년 메타분석 결과 (Huiberts et al., Sports Medicine) 59개 연구 / 1,346명 분석 결과 👇 • 남성 👉 하체 근력 향상 약간 둔화 (SMD -0.43) • 여성 👉 변화 없음 ✅ • 상체 근력·파워·VO₂max 👉 유의한 차이 없음 즉, 유산소를 병행한다고 해서 근력이나 파워가 줄어드는 건 거의 없었다. ⸻ 🧠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 유산소 → AMPK 경로 → 지구력↑ • 웨이트 → mTOR 경로 → 근비대↑ ⚡ 하지만 동시에 하면 AMPK가 mTOR을 억제 가능성 → “간섭효과” 발생 👉 하지만! 훈련 설계를 잘 하면 이 간섭은 피할 수 있다. ⸻ ✅ 간섭 최소화 전략 1. 웨이트 → 유산소 순서로 하기 2. 세션 간 최소 3시간 간격 3. 유산소 강도 과하지 않게 조절 4. 단백질 섭취 + 충분한 수면으로 회복 극대화 ⸻ 📌 정리 유산소를 병행해도 근력은 지킬 수 있다. 순서·강도·간격만 지키면, 오히려 더 균형 잡힌 몸을 만들 수 있다. ⸻ 👉 오늘도 유산소만 or 웨이트만 하지 말고, “똑똑하게 병행하자.” 📚 인용 출처 Huiberts et al., 2024, Sports Medicine “Concurrent Strength and Endurance Train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Impact of Sex and Training Status” 
유연한 힘을 위한 스틱 모빌리티 (끝 동작 참고하기) 힘만 좋은 사람은 흐름이 끊기고, 유연성만 좋은 사람은 지지력이 무너집니다. 그 사이 ‘연결된 움직임’을 만드는 훈련이 스틱 모빌리티입니다 . 스틱을 단순한 보조도구가 아니라, 지렛대 / 회전축 / 가동성 텐션으로 활용하면 몸은 ‘버티는 법’이 아니라 흐르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움직임을 훈련하면 퍼포먼스가 달라집니다.” 힘이 아니라 흐름을 다루고 싶은 트레이너 & 선수라면 이 루틴을 꼭 소화해보세요. @hwal.2 선생님과 함께하였습니다.
🥤 운동보다 중요한 건 단백질 전략이다. 저항성 운동 후 근육은 **단백질 합성 신호(MPS)**를 기다립니다. 이때 단백질을 공급하면 MPS 반응률이 최대 2배 이상 증가하지만, 섭취 타이밍을 놓치면 근육 회복 속도는 절반 이하로 떨어지게 됩니다. 📊 근육 단백질 합성 반응 (Yoon et al., 2021) • 단백질 섭취 ❌ : MPS 약 100% • 단백질 섭취 ✅ : MPS 약 200% (2배 ↑) • 운동 후 1시간 이내 섭취 시 효과 최고 ✅ 결론 👉 단백질 섭취 타이밍을 놓치면 근육도 놓친다. ⸻ 💪 단백질 섭취 가이드 • 1회: 20g (체중 1kg당 0.4g) • 하루: 1.6~2.2g/kg • 운동 직후: Whey 단백질 (빠른 흡수) • 취침 전: Casein 단백질 (지속 흡수) 📆 60kg 기준 예시 • 1회 약 25~30g • 하루 총량 약 100~130g • 3~4시간 간격으로 분할 섭취 ⸻ 📚 출처 Yoon et al., 2021. Scientific evidence-based strategies for protein intake for muscle recovery and growth after resistance exercise. Culture and Convergence, 43(2), 835–847. ⸻ 꼭 기억하세요 운동 후 1시간, 놓치지 마세요 ⏱️ #단백질 #운동후영양 #근육성장 #웨이트 #카제인단백질 #운동회복 #재활운동 #피티스튜디오 #헬스정보 #운동상식 #MPS #PT
피티 스튜디오 월례회 안내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고 환자와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직접 만들어내는 시간. PT STUDIO 월례회에서는 치료와 트레이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제 케이스 중심의 세션이 진행됩니다.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임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나눕니다. 11월 PT STUDIO 월례회 함께 성장할 분들을 기다립니다
보름달처럼 넉넉한 한가위 보내세요. 한가위 달처럼 풍요롭고 넉넉한 마음으로 가족과 함께 웃음 가득한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건강과 평안이 늘 함께하길 기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