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검색 계정
디그(dig)(@teamdig_official) 인스타그램 상세 프로필 분석: 팔로워 6,665, 참여율 0.21%
@teamdig_official님과 연관된 프로필
연관 프로필이 없습니다
이 계정에 대한 연관 프로필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teamdig_official 계정 통계 차트
게시물 타입 분포
시간대별 활동 분석 (최근 게시물 기준)
@teamdig_official 최근 게시물 상세 분석
여러 장 게시물 분석
@teamdig_official 최근 게시물
[ 연봉 대신 주식으로 줄게요 ] 최근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경영에 대한 대가를 스톡옵션으로 보상 받았다는데요🤑 스톡옵션이 뭔지 정확히 알아볼까요? - 더 많은 이야기는 디그 홈페이지 & 앱에서 읽을 수 있어요!
국내 최대 주식시장인 코스피 주가지수가 지난달 24일 이후 처음으로 4000선을 내주며 3953.76으로 마감했어요. 인공지능(AI) 거품 논란과 함께 너무 빠르게 올랐다는 심리까지 겹치며 하락세를 보였어요. 미·중 갈등 속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엔비디아 AI 칩 중국 수출 금지 조치 또한 미중 갈등이 심화한다는 측면에서 투자심리를 얼어붙게 했어요.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며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고요. 주식 시장과 함께 외환 시장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어요. 원·달러 환율은 7개월 만의 최고치인 1456.9 원까지 오르며 1460원을 위협했어요. - 📷사진출처 : 연합뉴스 - 📍프로필링크를 누르고 디그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경제를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새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0%∼60% 감축’ 또는 ‘53%∼60% 감축’ 중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여요. 정부가 두 방안을 최종 후보안으로 정했어요. 세계 각국은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지구 평균 기온을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상 높아지지 않게 하되, 우선 1.5도 이상 올라가지 않게 노력하자고 합의했어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하기로 한 당사국들은 ‘탄소중립’을 2050년까지 달성하기 위해 5년마다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정해 유엔에 제출해야 해요. 후보안들은 그동안 논의했던 안들과 달리 ‘범위’로 제시됐어요. 첫 번째 후보는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0%~60% 감축이고,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3%~60% 감축이에요. 최종안은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유엔(UN)에 제출돼요. - 📷사진출처 : 기후에너지환경부 - 📍프로필링크를 누르고 디그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경제를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공익적 영리법인으로 전환합쉬다~ 😺 ] 이제는 일상이 된 챗GPT! 최근 오픈AI가 기존 비영리 단체에서 공익적 영리법인으로 전환했다고 해요. 어떤 배경에서 그랬는지, 퀴즈로 함께 알아볼까요? - 더 많은 이야기는 디그 홈페이지 & 앱에서 읽을 수 있어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장기화로 항공 시스템 마비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숀 더피 미국 교통부 장관은 “안전이 확보되지 않으면 모든 공역(air space)을 닫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어요. 현재 항공관제사 1만 3000명이 무급으로 근무 중이며, 인력이 3500명 부족한 상황이에요. 초과근무가 이어지면서 피로 누적과 결근이 늘어나자 항공편 지연·취소가 속출했어요. 지난달 31일에는 항공기 6200편이 지연되고 500편이 취소됐으며, 관제사 결근이 원인의 65%를 차지했다고 해요. 이후 주말에도 하루 수천 편이 지연되는 등 혼란이 지속 중이에요. 이밖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3일(현지 시간) 대규모 저소득층 식량 지원 프로그램인 영양보충지원프로그램(SNAP)을 부분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당초 미국 농무부는 셧다운 장기화에 따른 재원 부족으로 11월 1일부터 SNAP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지만 민주당은 비상기금을 사용해 지원을 이어가라고 촉구했어요. SNAP은 미국 최대의 기아 방지 정책으로, 연방 정부가 정한 빈곤선 이하 주민들 약 4200만 명이 급식 혜택을 받아 왔어요. 3일(현지시간) 기준 34일째 이어지고 있는 이번 셧다운은 기존 최장 셧다운 기록(35일) 경신을 앞두고 있어요. - 📷사진출처 : AFP연합뉴스 - 📍프로필링크를 누르고 디그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경제를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제가 그 잠수함입니다 🤡 ] 소음없이 긴 시간 운용 가능한 잠수함이 있다는데, 알고 계신가요? 이 잠수함을 가지고 관련 뉴스가 쏟아지고 있어요. 퀴즈 풀고 왜 그런지 자세히 알아봐요! - 더 많은 이야기는 디그 홈페이지 & 앱에서 읽을 수 있어요!
요즘 뭐가 유행일까?🍂 대학생 인턴이 알려주는 소비 유행 두번째! 곧 끝나가는 가을을 어떻게 즐길 수 있을까요? 제 주변 친구들은 다양한 지역 프로그램과 마지막 노들섬 피크닉을 가고 있어요! 어떤 것들이 유행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3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서울의 한 치킨집에서 ‘치맥 회동’을 가져 화제를 모았어요. 세 회사의 돈독한 관계를 보여주는 장면이었어요. 젠슨 황 CEO는 이후 이재명 대통령과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을 만나며 “대한민국을 전 세계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사업을 하기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들 것”이라는 협력 의지를 밝혔어요. 엔비디아는 AI 기반 시설에 필요한 핵심 반도체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 등 4개 기업과 공공부문에 총 26만 개 공급할 계획이에요. AI 발전을 위해 세계 각국과 기업이 확보하려 하는 GPU를 한국에 우선 공급하겠다는 거예요. 업계 추정에 따르면 총공급 규모는 10조~14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대요. - 📷사진출처 : 매일경제 - 📍프로필링크를 누르고 디그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경제를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미국·이집트·카타르·튀르키예 4국의 중재로 발효된 가자지구 휴전 협정이 흔들리고 있어요. 협정에 동의했던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서로 협정 위반을 주장하며 공습이 재개됐기 때문이에요. 지난 28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인질 시신 인도 약속을 고의로 어기고 병력을 공격했다”며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어요. 반면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휴전 합의를 정면으로 어겼다. 미국이 네타냐후 정부의 폭격을 묵인하고 있다”고 비판했죠. 현지 당국에 따르면 이번 공습으로 어린이 46명 등 104명이 숨졌어요. 1차 휴전이 발효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군사 작전이 다시 전개된 거예요. 하마스 무장 해제와 이스라엘군 완전 철군 등을 놓고 2단계 휴전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무력 충돌이 격화되면서 휴전이 깨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에요. 다만 공습을 강행한 이스라엘군은 지난 29일(현지시간) 다시 스스로 “휴전 재개”를 선언했어요. 휴전을 중재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이 위태로울 이유는 없다”며 이스라엘의 대응을 두둔했지만, 가자지구 내 긴장은 다시 고조되고 있어요. - 📷사진출처 : AFP연합뉴스 - 📍프로필링크를 누르고 디그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경제를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통화 바꿔주세요! ] 최근 아르헨티나에서 '이것' 덕분에 대통령의 집권 여당이 중간 선거에서 압승을 거뒀다고 해요. 두 국가가 서로 화폐(통화)를 맞바꾸는 것 '이것'을 뭐라고 할까요? - 더 많은 이야기는 디그 홈페이지 & 앱에서 읽을 수 있어요!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최종 타결됐어요. 우리나라가 교역하는 국가 중 열두 번째로 교역량이 많은 말레이시아 시장이 더 활짝 열린 거예요. 양국은 2019년 중단됐던 협상을 지난해 다시 시작해 1년여 만에 최종 합의했어요.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말레이시아 FTA 체결에 합의했어요. 한국은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와 철강을 더 수출할 수 있을 전망이에요. 말레이시아는 팜유, 주석, 천연가스 등 풍부한 자원을 보유한 국가여서 각종 자원의 한국 수출을 노려볼 수 있게 됐어요.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에는 아세안 회원국 11개국과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이 참여해 다양한 협력을 논의했어요. - 📷사진출처 : 연합뉴스 - 📍프로필링크를 누르고 디그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경제를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거 제 비상금인데요 ]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큰 이슈인 요즘 왜 좀처럼 협상 타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걸까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의 구조와 성격 때문인데요, 외환보유고가 뭔지 정확히 알아봐요! 💸 - 더 많은 이야기는 디그 홈페이지 & 앱에서 읽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