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 참여율' 검색 분석 결과
분석 대시보드
요약 통계
검색 결과 스레드 (점수 순 정렬)
콘텐츠를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고 원하는 스레드 정보를 분석해보세요.
결혼은 여자의 노동력을 사적으로 사들이는 제도에 가깝다. 가사노동, 감정노동, 출산과 육아까지 이 모든 걸 여성은 무급으로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도 법적으로는 이를 ‘책임’이라는 말로 포장한다. 그래서 남편이 될 사람은, 절대 “도와준다”는 태도가 아니라, 항상 함께 나누고 같이 짊어지는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남자들의 순수함은 무지가 아니라 대부분 의도된 무시와 회피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감정노동, 가사노동, 돌봄노동을 몰라서가 아니라 안 하려고 자신들이 유리한 구조에 길들여진 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젊은 세대들 사이에도 바뀌고 있지만 아직은 구조자체가 기울어져 있어 누군가 바보짓을 안 해도, 그 바보의 잔해를 다른 이가 치우며 살아간다. from chatGPT
매매혼을 반대하는 건 우리나라 남자들을 외국의 젊은 여자들에게 뺏길까봐가 아니고.. 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이 많아지면 결국 다함께 책임져야할 사회적 부담이 커지기 때문+어린 여자애들이 가엾기때문이야.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펴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보고서를 보면 이주여성들은 집안일·가사노동 및 자녀 돌봄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고, 우울증상의 비율은 3명 중 1명이었어. 말도 안 통하는데 와서 아이낳고 살림사는 거 당연히 힘들지않겠어? 2. 그러니 각 지자체마다 이주여성상담센터나 다문화종합복지센터를 만들고 이주여성들 한국어 교육이나 심리상담을 도와주고 있어. 3. 다문화가정 아이들 학습부진 문제도 심각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4명중 1명이 학습부진이고, 중고등학교 올라가면 격차는 더욱 커져. 그래서 각 교육청에서도 아이들 학습 부진과 학업 중단 최소화를 위해 교육활동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어. 4. 다문화가족에게 쓰는 예산이 아깝다거나 역차별이라고 말하고싶은 건 아니야.
<MZ 직원 회식 참여율 100% 만드는 팁> 회식에 대한 극도의 반감과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MZ 들이 많은것 같은데요, 어느 정도 위치에 올라갔는데 직원들이 회식을 싫어해서 고민이신 과장 부장급 페친님들의 고민도 상당하리라 생각합니다 10년 째 저(과장) 밑의 30여명의 직원들 전원 대부분 자율적으로 회식에 참여하도록 한 저만의 노하우를 공유해드립니다 거두 절미하고 결론만 정리해 드립니다 (농담이 아니고 실제로 이렇게 합니다)
메릴 스트립도 똑같은 생각을 했구나! #메릴스트립
워킹맘은 하루 세 번 출근한다 첫 번째 출근은 회사 두 번째 출근은 자녀 돌봄 세 번째 출근은 집안일과 자기계발 여러 번 출근하는 바쁜 일과를 반복한다는 뜻이다. 직장,육아,가사노동 워킹맘, 정말 대단한 일을 하고 있구나.
육아가 적성인사람도 있겠지 아무래도 난아닌거같다. 너무너무이쁜데 너무너무힘들다 둥이들 돌아가며 밥시간 기저귀 목욕 통잠을 아직안자서 24시간 2-3시간에한번씩 돌아가며 밥주고 트름시키고..기저귀갈고 재우고 이것만해도 정신없는데 둥이들잘때 좀 쉴라하면 할일이 너무많아.집청소 빨래 밥해야지 뒤돌아서면 들리는 첫째의 엄마엄마엄마엄마엄마 뭐해줘뭐해줘 뭐줘 .. 애셋엄마는 진짜 쉴시간이없어 😭 진짜 딱하루만 푹자보는게 소원이다. 가사노동 힘든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