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검색 분석 결과

분석 대시보드

새 검색 또는 수정

요약 통계

총 스레드 수
10
총 좋아요
2,585
총 리포스트
285

검색 결과 스레드 (점수 순 정렬)

로그인 필요

콘텐츠를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고 원하는 스레드 정보를 분석해보세요.

1위
schau_mal_8
2024년 09월 25일
점수
2,606

어제 미스코리아 대회 질문 수준. 이건 더 긴 말 하고 싶지가 않네… 2024년 9월.

2위
slamslam__
2025년 07월 15일
점수
1,537

AI 공부는 이 순서대로 하세요 전부 YouTube에서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1. 초보 - Matthias Niessner 의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I2DL 2023) - 3Blue1Brown 선형대수학, 딥러닝 - Harvard CS50 컴퓨터 공학 기초 - First Principles of Computer Vision

3위
do_what_ilove
2024년 08월 31일
점수
1,210

[멋져 보이면 나도 해야 하는 인간 = 나] 1. 해외에서 일하는 게 멋져 보임 체코에서 6개월 동안 인턴 생활 이건 아니다 싶어 돌아와서 바로 한 학기 휴학 때림 2. 개발자가 멋져 보임 코딩/AI 공부 시작 (참고로 난 컴맹 비전공자 출신) 6개월 뒤 딥러닝 엔지니어로 취업 3. 연구실이 멋져 보임 6개월 뒤 대학원 입학, 원하던 연구실 출근 4. 학회에서 발표하는 연구자가 멋져 보임 해외 논문 3개/국내 학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1저자 3편) 5. 넘 힘들어서 아무것도 안 멋져 보임 석사 3학기에 마치고 조기 졸업 그리고 지금은

itsshibaai
2025년 03월 11일
점수
811

시바 충격!!!😱 이번엔 Cambridge 대학이다!!! Cambridge University에서 제공하는 9권의 무료 도서!!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딥러닝 (Deep Learning) 수학 (Mathematics)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다고함! 필요한 사람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아봐! 무조건 좋아요+저장+공유각인거 알지?😉 (이어서 계속👇)

queschun
2025년 02월 26일
점수
733

데이터 사이언스에 대한 내 생각을 올렸더니 데이터나 주면서 말하라고 하는 분들이 많아 몇 군데 공유함. 데이터사이언스 [국내] 1. 공공데이터 포털: 다양한 공공 데이터셋을 제공 2. AI HUB: 대용량 데이터셋과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를 제공 3.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관련 데이터를 제공 4. 국가통계포털 (KOSIS): 다양한 국가 통계 데이터를 제공 5.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경제 관련 데이터를 제공 6. 금융통계정보시스템: 금융 관련 데이터를 제공 👇

slamslam__
2025년 07월 18일
점수
323

파이썬 딥러닝 AI 할 때 꼭 썼으면 하는 라이브러리 - loguru - torchmetrics - tqdm - einops - black - prettyable - lovely_tensors - 파이썬 3.11

_seola_kim
6일 전
점수
286

방송대 통계데이터과학과 23학번, 25년 2월 졸업했다. 방송대 장점은 첫번째로 국립 4년제대학이라는 점, 두번째로 학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점이다. 한 학기 40만원이 채 안되고 이조차 성적을 잘 받으면 소정의 장려금까지 줌. 강의는 과목당 15강, 온라인으로 자유롭게 들으면 되고, 중간은 보통 과제, 기말시험은 오프라인으로 시험장에 출석해서 태블릿을 이용해 치른다. 과목이 많은데 졸업 기준에 맞춰서 자기 커리큘럼을 구성할 수 있다. 나는 통계과목은 수리통계학 등 이론 중심으로 수강하고, 일반선택(타대학 교양에 해당)은 컴퓨터과에서 개설하는 머신러닝, 딥러닝, 자료구조, 알고리즘, 클라우드컴퓨팅을 수강했다. 프랑스어, 세계식문화 등 흥미위주 과목도 들음. 통계데이터과학과는 오픈톡방이 굉장히 활성화되어있어 질문을 주고받거나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하기가 쉽다. 수강신청, 시험예약, 시험공부 팁 등을 받을 수 있어 신편입생들은 꼭 들어가기를 추천한다.

aicharacter_friend
2025년 02월 13일
점수
108

딥러닝 입문할 때 읽었던 책 제목처럼 설명과 구현을 바닥부터 차근차근 쌓아가면서, 딥러닝 개념을 스스로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단련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이게 2·3·4·5권까지 있었네? 이제야 알았다 ㅋㅋㅋ 꼭 읽어봐야겠다. 딥러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 혹은 프레임워크의 고수준 API로만 구현해본 개발자라면 추천하고 싶다. 스친들도 도움 많이 됐던 책이나 자료 있으면 추천해줄 수 있을까?

int_aekim
2일 전
점수
82

원작자가 이런 저런 해명을 내어 놓은 피드글을 봤다. 당당하던 모습은 사라지고 이제 여기대해서 반론하는 모든 사람들을 싸잡아서 ‘노력하는 사람을 조롱하는’ 사회를 만드는 부류로 몰아넣어버린다. 다른 글은 더 가관이다. 이러한 이슈는 미국식 자본주의와 유럽식 사회민주주의 가치관이 정면으로 부딪혔기 때문이랜다. 그래놓고는 AI 가 어떻게 세상을 바꿀지 상상해보라는 허무맹랑한 소리나 적고 있는걸 보고있자니 저 대학 수준도 이제 바닥을 치는건가 싶다. AI가 뭔지나 알까? 자기 손으로 딥러닝 모델은 하나 구현해서 설명은 할 줄 알까? 박사까지 했다는 사람이 연구라고는 저널하나 없고 proceedings만 3개 덜렁... 심지어 AI 는 코빼기도 안보인다. 9 to 6 를 부정하며 그렇게 밤새서 노력한것 치고는 박사 논문으로 저널하나로도 연결 못한건 공부시간이 부족했건걸까? 방향이 틀렸던걸까? 아니면 정말 그의 말대로 ‘그가 살아가는 분야’ 에서는 그게 보편적인걸까?

huamuver
23시간 전
점수
9

지난주, 제 동료가 갑작스러운 질병으로 세상을 떠나셨어요.​ 저희는 대학 연구실에서 처음 만나 12년 동안 함께 AI 알고리즘 연구를 이어왔고, 그 과정에서 함께 기술 공유 카페도 운영했습니다. 그분은 언제나 뛰어난 연구 실력으로 팀을 이끌어주셨고, 제가 맡았던 실험 데이터 분석 작업도 그분의 조언 덕분에 잘 이어나갈 수 있었어요.​ 이제 그분의 부재가 느껴지는 쓸쓸한 빈자리만 남았습니다. 잠시 기술 공유 카페 활동을 중단하고, 그분이 남겨둔 연구 노트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저희가 함께 개발한 딥러닝 모델과 최적화 방법을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 싶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