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검색 분석 결과
분석 대시보드
요약 통계
검색 결과 스레드 (점수 순 정렬)
콘텐츠를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고 원하는 스레드 정보를 분석해보세요.
사회초년생 재테크 입문서 5가지 1. EBS 자본주의(EBS 제작팀) 2. 세이노의 가르침(세이노) 3. 돈의 속성(김승호) 4.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로버트 기요사키) 5. 돈의 시나리오(김종봉)
20대 사회초년생 이라면 무조건 이렇게 월급 분배해 *내 동생이면 멱살잡고 이렇게 시킴 *지방러 기준 월급 300만원 기준 1. 월세는 40만원 언더로 살기.(고시원이든 저렴한 원룸이든) 2. 연금저축 월 50만원으로 1년에 꼭 600만원 채우기 *보너스/인센티브 받으면 추가로 IRP도 300만원 넣기 2번이 중요한 이유는 댓글에 적을께! 3. 월급의 40%는 S&P 500에 투자(120만원) 4. 주택청약 10만원 5. 알뜰폰 4만원 언더(나 무제한인데 36,000원) 6. 실비보험 5만원~7만원(회사에서 들어주면 따로 들지말고) 7. 식비: 저녁은 꼭 해먹자.(주말 하루는 일주일치 3~5만원 장보고) 8. 용돈 25만원(점심값 포함) 9. 차? 웃기지말고. BMW: bus, metro, walk 이용해.(교통비 한달 10만원 언더) 10. 책 구매 2권(3만원) 11. 만약 이렇게 하고 남는돈은 3번 더사! 집은 언제사냐고?! 3번으로 모아서 목돈 되면 그때 얘기하자.
8년전 도쿄 사회초년생 나에게 말하고싶은 조언들 1.영주권 신청할 수 있는 점수되면 곧바로 신청해라. "영주권 있으나 마나 큰차이 없다" "한국 국민건강보험에 불리해진다" 등 이유로 너의 귀찮음을 합리화 하지마라. 나중에 후회한다 2.시드머니를 모으자. 그 금액은 너가 영주권 나올 시기의 예상 연봉의 8배의 5%로 하자. 물론 더 많이 모으면 더 좋고 3.각종 소득/세액공제들 찾아보고 챙기자. 해외부양가족 공제, 고향납세, 의료비 공제 등등 다챙기면 꽤 크고 매년하면 더 커진다 4.가전양판점에서 고가 제품/핸드폰 기기 구매시, 부동산 월세 계약시 가격 협상 가능하다. 깍아주라고 말해보는건 공짜다 5.첫집을 살땐 살짝 무리해서사자. 한참 매년 연봉 오를 나이다 6.첫 이직시 오퍼가 나오면 사인전, 먼저 이직을 몇번 해보신 선배들에게 내용을 보고하고 반응을 봐보자. 7.Nisa계좌 빨리 만들고 빨리 갈아타라. 배당금/분배금도 비과세된다.
사회초년생 시절, 친구들과 모여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취업을 한 후 생애 첫 차를 살 고민을 하고 있었고, 다른 친구도 취업 후 해외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다. 우리는 차와 여행 이야기를 이어갔고, 그 친구는 가만히 듣고만 있었다. 그러다 문득, 깨달았다. 그 친구는 몇 년째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서둘러 말을 멈추고, 화제를 돌렸다. “아, 미안. 너무 내 이야기만 했네. 너는 요즘 어떻게 지내?” 그러자, 친구가 웃으며 말했다.
나 어제 태어나서 처음으로 코피 남… 진짜 너무 바빴음 부트키 상담해주느라…🥹 23년부터 사회초년생 무주택자 25명 정도 내집마련 시켰다. 솔직히 사회초년생 내집마련 시키기 너무 빡쎄다. 돈도 없고 대출도 많이 나오지 않는다…. 근데 이번 규제로 생애최초 무주택 친구들에게 정말 좋은 기회가 열렸다. 1)경,공매로 규제지역 토지거래허가 구역 피하기 2)생애최초 70% 대출 이용 (솔직히 우리 연봉으로 6억대출 풀로 받기 빡쎔) 3) 경쟁자 줄어든 경매시장에서 좋은 물건 싸게 줍줍 내집마련 해야 결혼이든 비혼이든 한다!!!!! 경매하자 집사자 친구들아
2030 사회초년생 커버드콜 ETF는 어때요?🙅🏻 JEPI, JEPQ부터 국내 상장 커버드콜 ETF, 또 엔비디아, 테슬라 커버드콜을 넘어 코인베이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커버드콜까지, 다양한 커버드콜 상품들을 좋아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서일까요. 커버드콜은 어떻냐고 묻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저는 완강하게 🙅🏻👎🏻🚫❌입니다. 1세대 커버드콜부터 최근의 2세대 커버드콜까지 다양한 전략이 들어간 상품이 있지만, 커버드콜 상품은 본질적으로 "본래의 종목, 지수를 절대 이길 수 없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시간의 복리를 누려야하는 사회초년생이라면 당장의 달콤함인 커버드콜보다는 해당 주식, 혹은 지수 자체를 모아가는 게 더 바람직합니다. 성과도 당연하구요. 당장의 현금 흐름이 필요하거나 은퇴를 조만간 준비 중인 분들에게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겠지만, 2030 사회초년생 투자자들에게 커버드콜은 절대 비추합니다. 절대! 진짜! 제발! 당장의 달콤함에 현혹되지 마세요. 미국주식
< 30살 1억목표 월 260 사회초년생 저축라인 > 🙏🏻재테크 고수님들 조언 완전 환영🙏🏻 1.주택청약 10 2.보험 10 3.청년도약 40 4.주식 130 5.고정비 13 6.생활비 44 7.여행적금 3 8.비상 경조사비 10
요즘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이 맞냐? 전세 사는 게 ‘특권’이 되어버린 나라를 만든 O찍들… 진짜 대단하다. 근데 중간에 하는 말이 더 웃김. “청년들 주거 사다리 끊어놓은 거 없다”, “생애최초 그대로 뒀다” ??? 현실은 이렇다: 1. 스트레스 금리를 기존 +1.5% → 최저 +3%로 상향 2. 주담대 만기 50년 → 30년 축소(= DSR 더 불리하게 적용) 이 둘만으로도 사회초년생·신혼부부 돈줄 싹 묶어놓고 결국 월세로만 내몰아버린 정책인데, 뭔 사다리를 안 끊었대;;
사회초년생 월급 200만원은 대체 언제쯤 올라가는지 궁금한 부분이다. 내가 대학생 시절 시급 4000원대 받고 알바할때도 사회초년생 세전월급 150~200이었는데 요즘도 세후 180~200에서 멈춰있더라. 아예 안 오른건 아닌데 오른 것 같지도 않음. 장난하나 싶다. 물가는 거진 체감상 세배 자산은 5배 이상 오른 것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