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 농산물' 검색 분석 결과

분석 대시보드

새 검색 또는 수정

요약 통계

총 스레드 수
8
총 좋아요
389
총 리포스트
37

검색 결과 스레드 (점수 순 정렬)

로그인 필요

콘텐츠를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고 원하는 스레드 정보를 분석해보세요.

1위
bobeavil
2024년 12월 27일
점수
638

유기농 농산물, 당뇨에 좋은 유기농 식품을 알리고 싶은 외국계 제약회사 출신 청년농부인데 쓰레드로 소통은 하고 싶고 반말 하는건 너모 어렵고..😂😂

2위
chmg2723
2024년 11월 12일
점수
301

스레드 시작했어 ☺️ 부디 꾸준히 하길!! 난 자영업 10년차~ 대구 다사쪽에서 초록마을 운영중이야 유기농 무농약 친환경 제품 및 농산물 판매! 어른 아이 건강기능식품과 제과류 다양🤗 아이 이유식 정보 건강 정보 제철 농수산물 정보 묻는것도 해주는것도 환영☺️ 코로나도 버텼는데 10년차 되니 넘 지치는 중이야 ㅠ 스레드 하면서 다시 힘내 보고 싶어💪 자영업자들 화이팅!

3위
yeom_cy
2025년 09월 07일
점수
167

밭에서 따온 유기농 농산물 벌레들이 먼저 시식하고 못생겼다. 불 끄면 똑같아.. 눈 감으면 맛있어!!

yidainparis
2025년 02월 21일
점수
145

파리 유기농 박람회 준비 & 프랑스 유기농 시장 탐방 현재 **"파리 유기농 박람회"**에서 한국관 운영을 준비 중이라, 앞으로 프랑스의 유기농 시장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나누려고 해. 오늘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유기농 전문 체인 중 하나인 "La Vie Claire"를 방문하고, 한국 업체들이 유럽 시장을 공략할 때 참고할 만한 카테고리를 정리해봤어. 🔎 유기농 시장 인사이트 ✅ 식품 전반적으로 유럽산 농산물 & 가공식품의 유기농 대안이 많은 편. 하지만 "유기농 아시아 식품" 섹션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이 눈에 띄었어. ✅ 뷰티 10년 전과 비교해도 거의 동일해.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Jonzac, Melvita, Weleda 등이 있으며, 이번 방문에서 새롭게 독일 브랜드 "Logona"를 발견했네. 댓글에서 계속

gina_vegimi
2025년 04월 15일
점수
85

한살림에서 쇼핑은 즐거워요. 지갑은 얇아지지만 토양과 기후에 도움을 주지요. 가능한 무농약, 유기농 농산물 애용해요! #스하리1000명

maaaaaaldek
2025년 03월 29일
점수
59

유기농 사료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알려줄께. 그냥 외워 ----- 1. 원료 인증부터 개념 잡자 - 친환경: 친환경적으로 재배(저농약이라고도 부름) - 무농약: 이번 생산분에 농약을 안썼음 - 유기농: 3년간 농약 안친 땅에서 농약 안치고 재배한 농산물 2. 유기농 사료 추천 안하는 이유 - 한국에서 유기농 인증 받으려면 유기농 원료 비율이 70% 이상이어야 함 - 한국의 대부분 유기농 사료는 곡물과 야채로 그 70%를 채움 - 동물성 원료는 비유기농이고 20% 정도만 들어가. 거의 비건 사료 수준임 3. 원료의 가격에 대해 - 유기축산물은 좋은 원료지만 넘 비싸. 닭고기는 10 이상도 차이가 나니까 - 유기농 채소나 곡물도 좋긴 한데 중요한건 동물성 원료의 함량이야. 이 동물성 함량보다 중요한건 없음 근데 유기농이라고 파는 업체들은, 왜 정작 주요 단백질원이 되는 동물성 원료는 유기농 원료를 안쓸까? 비싸서 그런걸까? 유기농 동물성 원료를 구하려면 구할 수 있을텐데 말이지

make_green_farm
2025년 08월 21일
점수
56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 이벤트!! 친환경 농산물이라고 농부가바로팜 이라는곳에서 20프로 할인쿠폰을 주넹 8월달만, 사용가능하고 수량은 100개!! 스토어에서 계정당 하나만 사용가능하다고해

organic_record
2024년 10월 31일
점수
28

<유기농 vs 무농약 차이> 무농약 인증을 받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무농약 농산물과 유기농 농산물은 차이가 있어. 농산물의 경우 <유기농>은 3년간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 1년, 2년동안으로는 안되고 3년이 되어야 유기농 인증을 심사 받을 수 있고 그외에도 많은 검증 절차가 통과되어야 유기농 인증서를 받게 돼. <무농약>은 농약은 사용하지 않으나 화학비료는 권장양의 1/3을 사용한 농산물. 결론적으로 화학비료를 조금이라도 사용했다면 무농약, 화학 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했다면 유기농 농산물. 화학비료는 토양이나 식물에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무기화합물을 인위적 합성을 통해 만들어져서 비교를 하자면, 유기농 농산물이 더 친환경적이고 자연 농법으로 재배되었다고 말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