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검색 분석 결과
분석 대시보드
요약 통계
검색 결과 스레드 (점수 순 정렬)
콘텐츠를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고 원하는 스레드 정보를 분석해보세요.
사실상 월에 200~300정도 버는 사람은 나라에서 도태된 사람 아닐까? 딱 최저임금 수준에서 월급을 받으니.. 최저임금 이상은 못 주겠다는 거잖아 그래서 능력상 그 이상은 못 받잖아. . 팩트폭격 미안해
내년부터 4인가족 기초수급 200만원 넘게 지급 4인가구 생계급여 수령액은 약 207만원, 최저임금 209만원과 동일한 수준. 생계급여 수급자는 지난해 약 267만 명. 이정도면 일하지 말고 배급 받으라고 강요하네. 국민을 가축으로 취급하는 내란정부 규탄하라.
문재인이 역대 최악의 대통령임. 하나씩 까발려보자 포퓰리즘. 무리한 최저임금. 국가재정 악화. 일자리창출을 시급알바 공무원으로 확충. 세금낭비. 탈원전 역행
한국 최저임금 10,030원 우리 직원한테 시급 13,020원 주면서 2-30분 조기퇴근도 자주 시켜주고 밥이랑 간식도 엄청 사주고 한가할 때는 앉아서 쉬게까지 하는데 돈 더 받고싶다고한다 ... 🙂 (단순 매장 관리 업무임) 솔직히 나는 하는 업무에 비해 굉장히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좀 당황스럽다 ㅎㅎ;;; 이럴 때는 어떻게하면 좋을까?
와우 1. 택배 기사님도 최저임금 2. 프리 디자인도 최저임금 3. 프리 개발자도 최저임금 4. 학원 강사님도 최저임금 이건 위험한 것 같아요.
실업급여, 실제 일하는 것보다 더 받는다 현행 고용보험 제도의 구직급여(실업급여) 구조가 잘못 설계돼, 최저임금 수준의 근로자가 실제로 일할 때보다 일을 하지 않고 실업급여를 받을 때 오히려 더 많은 돈을 받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이 13일 발표한 '고용보험기금 재정 관리 실태'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약 127만7천명이 실직 전 월급보다 더 많은 실업급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이 받은 초과 금액은 총 1조2천850억원에 달했다. 감사원은 기형적인 실업급여 제도가 근로자의 근로 의욕과 실직자의 구직 의욕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실업급여 최소 보장 금액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 매일신문 📸 뉴스1
김치찌개12000 휘발류1720원 환율1470원 최저임금10030원 오늘기준 강남 아파트사려면 월 1000만원 저축30년해야지 24평 아파드산다 코스피는 4000넘었는데 본인 계좌 따듯한가?주위에 돈방석에 앉은사람 많데? 뭐가 좋다고 웃고 쳐다니는지 생각이란걸 모르고 사는 새끼들 2026년은 대한민국이 망하는 한해가 될꺼다
최저임금 기준 일하는사람보다 실업급여 받는사람이 약 77000원정도 더 받는다고 해. 돈모으기싫고 일하기싫고 결혼생각 없으면. 13개월 일하고, 5개월 실업급여받고, 형식적으로 구직활동좀 해주면 기초생활수급자 선정되고. 수급비 매월 100만원정도 타먹으면 개꿀. 내 세금이 이렇게 녹아내리는중!
2026년 최저임금 시급이 1만320원 2025년 1만30원 대비 2.9%(290원) 인상, 월 환산액(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은 215만6880원 최저임금 시급 및 월 환산액 2026년 최저임금 시급과 월 환산액에 대한 상세 최저임금 시급: 10,320원 월 환산액: 2,156,880원
베트남 개인소득세 공제 인상 및 최저시급에 관한글 1급지 496만동 ->531만동(시급 25,500동) 2급지 441만동 ->473만동(시급 22,700동) 3급지 386만동 ->414만동(시급 20,000동) 4급지 345만동 ->370만동(시급 17,800동) 납세자 본인 공제액 1,100만동 -> 1,550만동 부양가족 440만동 -> 620만동 GDP 및 평균 소득 증가율로 인한 최저임금 상향 및 공제액 증액 2026년 1월1일부터 적용됨으로 한국 회사들이 많이 진출해있는 노동집약적회사들은 매년 임금 인상에 민감 할수 밖에없는데 1급지 기준 7%가량 최저임금 인상으로 추후 공장 건설시 낮은급지 (호치민, 하노이 외곽) 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은 공제액이나 최저임금의 영향을 안받기때문에 따로 관점 공유할건 없을듯함…( 대부분 최고 소득세 납부)